![갑작스런 시야 흐림과 통증··· 혹시 시신경이 보내는 경고신호일까? [진료실 건강팁]](https://kuk.kod.es/data/kuk/image/2025/07/05/kuk20250705000021.300x169.0.jpg) 
			
				갑작스런 시야 흐림과 통증··· 혹시 시신경이 보내는 경고신호일까? [진료실 건강팁]
어느 날 아침, 한쪽 눈이 뿌옇게 보인다. 눈을 비비고 다시 봐도 마찬가지다. 게다가 눈을 움직일 때마다 묵직한 통증이 느껴진다. 이런 증상을 경험했다면, 단순한 피로나 안구건조증이 아니라 시신경염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시신경은 눈에서 받아들인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핵심 통로다. 수많은 신경 섬유가 다발을 이뤄 시각 정보를 빠르게 전송한다. 그런데 이 ‘정보 고속도로’에 염증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 당연히 정보 전달에 차질이 생기고, 이는 시력 저하나 시야 장애로 나타난다. 시신경염은 주로 20~... [이영수]


![혈액까지 끈적이는 후텁지근한 여름, ‘급성 심근경색증’ 조심해야 [건강 나침반]](https://kuk.kod.es/data/kuk/image/2025/07/04/kuk20250704000064.300x169.0.jpg)
![휴가 후 아이가 ‘눈이 따갑다’ 호소한다면, 눈에 화상 가능성 [건강 나침반]](https://kuk.kod.es/data/kuk/image/2025/07/04/kuk20250704000050.300x169.0.jpg)
![2025년 허리·턱·피부 등 건강 관리법은? [건강 나침반]](https://kuk.kod.es/data/kuk/image/2024/12/30/kuk20241230000032.300x229.0.jpg) 
						![‘차가운 눈밭 주의하세요; 겨울 되면 늘어나는 치질 [건강 나침반]](https://kuk.kod.es/data/kuk/image/2024/12/26/kuk20241226000050.300x229.0.jpg) 
						![건강한 노년을 위한 근감소증과 퇴행성관절염 예방법 [건강 나침반]](https://kuk.kod.es/data/kuk/image/2024/12/23/kuk20241223000049.300x229.0.jpg) 
						![어르신에게 나타난 충동적 행동과 집착, 실어증… ‘이 치매’ 때문 [건강 나침반]](https://kuk.kod.es/data/kuk/image/2024/12/19/kuk20241219000120.300x229.0.jpg) 
						![유독 피곤하고 몸이 붓는다면? 갑상선 점검해 보세요 [건강 나침반]](https://kuk.kod.es/data/kuk/image/2024/12/17/kuk20241217000058.300x229.0.jpg) 
						![눈동자에 하얀 것이 생겼다! 나이 들수록 잘 생기는 ‘익상편’ [건강 나침반]](https://kuk.kod.es/data/kuk/image/2024/12/17/kuk20241217000018.300x229.0.jpg) 
						![꾸준한 재활에도 통증 지속된다면 ‘척추수술실패증후군’ 의심해야 [건강 나침반]](https://kuk.kod.es/data/kuk/image/2024/12/16/kuk20241216000116.300x229.0.jpg) 
						![아무 증상 없다가 어느 날 쾅! 경동맥 협착 [건강 나침반]](https://kuk.kod.es/data/kuk/image/2024/12/11/kuk20241211000123.300x229.0.jpg) 
						![신경세포에 반복적인 염증, ‘다발성경화증’ [건강 나침반]](https://kuk.kod.es/data/kuk/image/2024/12/10/kuk20241210000066.300x229.0.jpg) 
						![복숭아뼈, 어깨, 무릎에 갑자기 혹과 통증이 생겼다면 [건강 나침반]](https://kuk.kod.es/data/kuk/image/2024/12/03/kuk20241203000228.300x229.0.jpg) 
						![서서히 진행되는 코막힘, 코에 생기는 종양 일수도 [건강 나침반]](https://kuk.kod.es/data/kuk/image/2024/12/03/kuk20241203000220.300x229.0.jpg) 
						![찬바람에 괴로운 손발 저림과 시림, 단순 수족냉증으로 방치하면 안 되는 이유 [건강 나침반]](https://kuk.kod.es/data/kuk/image/2024/11/28/kuk20241128000066.300x229.0.jpg) 
						 
						![급사 부르는 부정맥, 시술로 안전하게 치료 [건강 나침반]](https://kuk.kod.es/data/kuk/image/2024/11/26/kuk20241126000076.300x229.0.jpg) 
						 
						![유방에 생긴 멍울 유방암일까, 위험한 혹 ‘엽상종양’ [건강 나침반]](https://kuk.kod.es/data/kuk/image/2024/11/21/kuk20241121000059.300x229.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