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과학] '암세포를 정상으로 되돌린다'… KAIST, 세포·약물반응 예측 AI 기술 개발
KAIST가 세포와 약물 반응을 레고블록처럼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방식의 수학적 모델링으로 새로운 반응과 임의의 유전자 조절 효과까지 예측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암 치료, 재생의학, 약물 재창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세포 상태를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하는 기술은 암 치료를 비롯해 생물학과 의학 연구에 핵심 과제다. 특히 암세포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은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팀은 생성형 AI를 활용해 세포를 목표 상태로... [이재형]


![[쿠키과학] '연합학습 한계 돌파'… KAIST, 합성 데이터로 AI 범용성 강화](https://kuk.kod.es/data/kuk/image/2025/10/15/kuk20251015000218.300x169.0.jpg)
![[쿠키과학] '알레르기+미세먼지' 동시 노출… 바이러스 감염 위험 ↑](https://kuk.kod.es/data/kuk/image/2025/10/15/kuk20251015000062.300x169.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