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두 살배기 딸의 코와 입을 손으로 막아 질식해 살해한 30대 주부의 살인 동기는 산후우울증이었습니다. 그녀는 남편과 닮은 막내딸을 보고 싶지 않다는 이유로 충동적으로 범행을 저질렀다고 진술 했는데요.
전문가들은 출산한 여성들의 약 10~20%가 이같은 산후울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최근 한 연구에서는 출산한 여성들의 10명 중 6명명은 출산 이후 5년 내에 우울증을 경험한 바가 있다고 답해 산후우울증으로 고통 받는 여성의 수가 많다는 것을 실감케하는데요.
그러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산후우울증으로 진료를 받은 여성은 241명으로, 2013년 출생아 수를 기준으로 추산한 산모 약 43만 6천 6백명 중 최소 10%(약 43,660명)가 산후우울증이라고 가정할 때, 불과 약 0.6%만이 진료를 받고 거의 대부분은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산후우울증은 여성의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아이와의 상호작용에도 영향을 주어 아이의 정서, 행동, 인지 발달에 부정적 결과를 초래합니다.
또 부부간의 불화와 갈등을 초래해 가정 파탄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방치될 경우 피해망상, 과다행동 등 심각한 정신병으로 이어져 자살 등 극한의 상황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 미시간의과대학 캐서린 골드(Katherine Gold) 교수의 연구 결과, 우울증을 가지고 있는 임산부나 출산여성은 자살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산부 사망의 10%가 자살로서 1위로 조사된바 있습니다.
중앙대병원 산부인과 김광준 교수는 “출산을 위해 병원을 찾은 임산부에게 산부인과 진료 단계에서부터 태아와 산모의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감정 및 정서, 환경 등 정신건강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대형병원에서 산후우울증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산부인과와 정신건강의학과, 소아청년과가 연계해 ‘분만 전후 협진 상담을 통한 산모의 산후우울증 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중앙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선미 교수는 “산후우울증을 경험하는 산모들이 증가하는 추세인데 반해 제대로 된 관리와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고 여전히 방치하고 있다. 앞으로 병원에서 임산부에 대한 체계적인 산전?산후 우울증 검사·관리 및 치료 프로그램이 반드시 병행돼야 하며, 산모는 물론이고 가족들의 관심과 인식의 변화를 통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김단비 기자 kubee08@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