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를 완벽하게 퇴치할 수 있을까? 의료계와 과학계는 이를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치매는 퇴치 가능한 병이 아니라 적극적 치료와 건강한 생활습관을 통해 증상을 조절해 나가는 병이라는데 입을 모은다. 치매는 의학적인 처치 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병이다. 그렇다면 치매환자와 그 가족들을 위한 국내 수준은 어디까지 올라왔을까.
◇치매관리 전달체계 따로따로
보건복지부는 2008년 치매와의 전쟁을 선포하며 ‘치매종합관리대책’을 내놓았다. 그로부터 4년 후인 2012년 제2차 치매종합관리대책을 내놓으며 개선과 변화를 거듭한다. 관리대책을 자세히 살펴보면 치매관리 전달체계의 골격을 완성했다. 중앙치매센터-대형병원 중심의 권역치매센터-보건소 및 치매거점병원 순이다. 그러나 문제는 역할부담이 잘 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의료기관, 보건소, 노인복지시설 등이 치매환자와 가족들의 위한 업무를 보고 있으나 이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돼있지 못해 서비스의 혼재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치매환자를 둔 가족들은 중점적으로 어느 곳에서 도움을 받아야하는지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따로 없는 탓이다. 정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박건우 강북구치매지원센터장(현 고대안암병원 신경과)은 “보건소와 지역사회 복지협의체와 연계해 치매환자 발생시 효과적으로 관리해나갈 수 있도록 네트워크가 구성돼있어야 한다. 초기, 중기, 말기 치매 각 단계별 전문인력들이 유기적으로 일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갖춘다면 부모가 치매의 어떤 단계를 앓든 지역사회가 이들을 효과적으로 돌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핵심은 치매전문인력
전문인력의 부족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과제로 남아있다. 우선 전문 인력을 누구로 볼 것인가에 대해 혼선이 여전하다. 재가서비스를 주로 담당하는 요양보호사인지, 치매환자의 인지재활 교육을 담당하는 사회복지사인지 또는 간호사와 같은 의료진인지 말이다. 치매환자를 전적으로 돌보는 인력에 대한 투자와 지원이 있어야 서비스의 질이 높아진다는 데 관련 학계 전반이 공감한다. 박건우 센터장은 “치매 맨 마지막 단계로 들어선 중증 치매환자들은 대개 요양원에서 생활한다. 이 경우 의료진보다 요양보호사의 역할이 크다. 치매환자를 책임지고 돌보는 전문인력이 요양보호사인 셈이다. 반면 치매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초기 단계에는 의료진의 역할이 크다. 그렇다면 과연 한정된 예산과 지원책을 치매 앞 단계에 둘 것인가, 치매 맨 마지막 단계에 집중할 것인지 의견이 분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치매진단율이 크게 올랐다. 이는 숨어있는 치매환자의 발견 건수가 늘었음을 의미한다.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무료치매검진 정책이 효과적으로 작동했다. 보건소에서 치매선별용 간이정신상태검사(MMSE-DS)를 통해 치매 의심 및 위험군을 선별해 난 다음, 보다 정밀한 진단검사가 필요한 경우 거점병원에 검진을 의뢰한다. 조기발견이 중요한 이유는 중증으로 이행되는 기간을 늦추거나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또 초기단계부터 약물 치료 시 5년 후 요양시설 입소율을 절반까지 감소시킨다는 분석이 나왔다. 요양비용은 연간 5000여억원 절감할 것으로 추정된다. 조기발견을 위한 효과적인 진단법의 개발과 치매에 대한 비약물적 치료법 개발이 꾸준히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김단비 기자 kubee08@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