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김단비 기자] 서울아산병원이 소아에 맞는 저선량 CT프로토콜을 이용해 방사선 피폭우려를 불식시켰다.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구현우 교수팀이 2006년 8월부터 2011년 7월까지 5년간 서울아산병원에서 CT를 찍은 15세 미만 소아 1만3803명의 실제 방사선 노출량을 개별적으로 분석한 결과, 98.4%의 소아에서 연간 2mSv(밀리시버트) 이하의 수치를 보였다.
이는 CT를 한 번도 찍지 않은 일상생활 중 자연적으로 노출되는 연간 자연 방사선 피폭량 2.5mSv보다 낮은 수치로 진단 검사용 CT의 안전성을 입증하는 결과다.
또한 일반적으로 100 mSv이상의 방사선 피폭은 평생 암 발생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번 연구 결과, 5년간 축적 방사선 노출량이 30 mSv를 넘어 집중관리가 필요한 경우는 전체 환자의 0.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결과는 반드시 필요한 검사임에도 방사선 피폭량에 대한 걱정 때문에 검사를 꺼리거나 거부하는 부모들에게 소아에서 진단 CT 검사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높이고, 의료진들에게는 환자별 방사선 노출량 관리에 중요한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금까지 다른 연구에서는 검사부위에 따른 전형적인 대푯값으로 축적 방사선량을 계산했기 때문에 실제 개인별 축적 방사선량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1만3803명 중 5년간 3번 이상 CT를 찍은 931명, 총 5339건 CT 검사에 대해 나이, 성별, 검사부위, 그리고 실제 CT 검사 시 적용된 검사조건을 세밀하고 정확하게 고려해 5년간의 방사선 노출량을 계산한 것으로 이런 분석은 세계 최초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이번 연구를 통해 ▲CT 시행 횟수 ▲한 번 CT 검사 시 나오는 방사선의 양 ▲ CT 검사 받는 소아의 질환에 따라서 축적 방사선 노출량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질환군에 따라 축적 방사선 노출량에 기여하는 영향인자가 다르다는 것도 밝혔다. 악성 종양의 경우 CT 검사 당 방사선 노출량과 CT 시행 횟수가 모두 높은 반면, 간이식관련 질환에서는 CT 검사 당 높은 방사선 노출량이, 수두증에서는 잦은 CT 시행 횟수가 높은 축적 방사선 노출량에 주로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 환자들에서 CT가 필요한 경우, 진단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저선량 CT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가능하면 방사선 노출이 없는 초음파나 MRI로 대체하는 방법 등을 이용해 방사선 노출에 의한 위험을 개별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구현우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방사선 민감도가 높은 소아에서 세계 최초로 개인별 실제 축적 방사선 피폭량을 5년간 세밀하고 정확하게 추적한 결과로 향후 진단용 의료방사선관리에 새로운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구 교수는 “서울아산병원의 경우 2000년부터 소아에 맞는 저선량 CT 프로토콜을 개발해 사용해 왔으며, 반복된 CT검사에 의한 축적 방사선 노출량이 환자마다 개별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자주 CT 검사를 시행해야 하는 많은 소아 환자들이 안심하고 검사를 받을 수 있길 바란다” 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영상의학분야 권위지 ‘소아영상의학회’ 최신호에 게재됐다.
kubee08@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