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김단비 기자] 5일 현재까지 국내 메르스 환자는 총 30명이 됐고, 격리대상자만도 1300여명을 넘어섰다.
메르스 사태에 대한 정부의 대응 수위는 높아지고 있지만 메르스 공포는 지역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휴업에 들어간 학교만 전국에 544곳에 달하고, 서울시교육청도 이날 강남구와 서초구에 위치한 유치원, 초·중·고의 휴업령을 검토 중이라 밝혔다.
지역사회 전파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새로운 대응 방식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새 국면에 들어선 메르스 사태에 대해 한국파스퇴르연구소의 하킴 자바라 박사가 견해를 밝혀왔다.
◇현재 한국에서의 메르스(MERS) 바이러스 출현이 놀랄만한 일인가?
100년 전 비해,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여행자들이 이동하고 국가 간 무역거래가 증가하는 상황을 고려할 때 한국에서의 발병은 그리 놀랄만한 일은 아니다. 하지만 모든 정부기관이 이러한 바이러스의 유행의 심각성을 정확히 인지해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는지를 보는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이는 수동적인 모니터링 시스템과는 완전히 달리, 능동적인 현장 상황 평가와 봉쇄상황을 설정해야 한다. 즉 '적극적인 군사 작전'과 같은 상황으로 대처해야한다. 지금까지 보면, 우리는 한국질병관리본부의 이와 같은 최악의 바이러스 출현 사태의 대처 능력과 확인된 케이스에 대한 정보공유를 볼 수 있다.
◇메르스(MERS) 바이러스에 대해 우리가 아는 건 무엇인가?
사실 이 바이러스에 대해 많은 정보가 없다. 불과 2~3년 동안의 연구를 바탕으로 메르스 바이러스의 생물학적 특성을 파악하기엔 충분하지 않다. 하지만 바이러스 학자에게는 어떤 면이 새롭고 다른지 다양한 측면의 가설을 제공할 수 있다.
한국에서 메르스 확진 판정 수를 근거로 볼 때, 이는 상당히 높은 전염성을 갖고 있으나, 의료보건시설에 관련된 대다수의 환자가 메르스 바이러스 감염자로 진단 받기 전, 그리고, 적절한 격리 조치가 이루어지기 전에 병원체에 노출됐다.
같은 상황에서, 중동지역에서 병원 내 바이러스가 출현 했을 당시, 적절한 격리 조치를 했고 이 후 병원성 감염 사태가 중단됐다는 사실도 알고 있다. 동시에 메르스 바이러스에 감염된 한국인에게서 채취한 바이러스의 유전체 서열정보를 알 수 없는 상황이며(현재 진행 중이라고 알고 있지만) 다른 나라에서 발생한 샘플과 비교할 수 없고 아마도, 이러한 형태의 바이러스는 변형된 것일 수 있음을 추측해볼 수 있다.
현재로선 아직 메르스 바이러스에 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로인해 제대로 된 치료제를 개발하지 못했다. 이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특별히 치료제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전 세계적으로 바이러스 출현에 대한 대응책은 마련돼 있는가?
2014년 출간 된 Combinatorial Chemistry and High Throughput Screening 사설에서, 본 연구소의 소장은 (당시 미국 뉴욕시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의 소속) 다가오는 세계 공중보건위기 상황에서, 현존하거나 앞으로 새롭게 진단 될 질병을 퇴치할 치료제 공급의 감소 및 한계에 대한 주제로 기고했다.
두 가지 예를 들면 지금까지 치료제가 없는 에볼라와 최근 발생한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다.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는 이미 미국만큼 멀리 떨어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한국까지 전파돼왔다.
어느 누구도 이후에 이 바이러스가 어떻게 혹은 어느 곳에서 발병 될 것인지 예측할 수 없다. 정부 및 각 나라의 질병관리본부와 세계보건기구 WHO는 바이러스가 발병할 수도 있고, 발병하지 않을 수도 있는 상황에서, 24시간 감시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이를 퇴치할 치료제도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오늘날 세계는 감염성 질병 출현에 대한 대응책이 충분히 마련되지 않고 있다. 한국정부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닌 이런 사태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위한 노력에 총력을 기울어야 한다. kubee08@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