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이연진 기자] 겨울철에 층간소음으로 인한 갈등이 급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위층에서 뛰거나 걸으면서 발생하는 소음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됐다.
14일 서울시는 2014년 4월부터 지난달까지 1년9개월간 접수된 민원 상담 1097건을 분석해 발표했다.
층간소음으로 인한 민원상담은 2014년 10월 47건을 접수한 것을 시작으로 11월(48건), 12월(55건), 지난해 1월(65건)까지 증가했다. 또 지난해 4월 71건을 기록한 후에는 감소세를 보이다 10월 69건으로 큰 증가폭을 보였다.
층간소음 갈등의 원인 중 아이, 어른들이 위층에서 뛰거나 걸으면서 발생하는 소음이 850건으로 전체의 77.5%를 차지했다.
이어 가구를 끌거나 망치질, 문 개폐로 인한 소음 118건(10.8%), 청소기·세탁기 등 가전제품 소음과 피아노 소리 65건(5.9%), 개 짖는 소리 50건(4.6%) 순으로 나타났다.
주거위치별로는 위층의 층간소음으로 인해 아래층에서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821건(75.0%)으로 가장 많았다. 아래층의 과도한 항의와 보복 소음 등으로 위층 거주자가 고통을 호소하는 상담도 198건(18.0%)을 기록했다. lyj@kukinews.com
[쿠키영상] '눈밭의 혼인서약' 애견이 촬영한 특별한 결혼식 영상
[쿠키영상] '파도타기+아크로바틱' 탠덤서핑 즐기는 세계 챔피언 커플
[쿠키영상] 불쑥 나타난 상어 "땡큐 공짜 참치!"
14일 서울시는 2014년 4월부터 지난달까지 1년9개월간 접수된 민원 상담 1097건을 분석해 발표했다.
층간소음으로 인한 민원상담은 2014년 10월 47건을 접수한 것을 시작으로 11월(48건), 12월(55건), 지난해 1월(65건)까지 증가했다. 또 지난해 4월 71건을 기록한 후에는 감소세를 보이다 10월 69건으로 큰 증가폭을 보였다.
층간소음 갈등의 원인 중 아이, 어른들이 위층에서 뛰거나 걸으면서 발생하는 소음이 850건으로 전체의 77.5%를 차지했다.
이어 가구를 끌거나 망치질, 문 개폐로 인한 소음 118건(10.8%), 청소기·세탁기 등 가전제품 소음과 피아노 소리 65건(5.9%), 개 짖는 소리 50건(4.6%) 순으로 나타났다.
주거위치별로는 위층의 층간소음으로 인해 아래층에서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821건(75.0%)으로 가장 많았다. 아래층의 과도한 항의와 보복 소음 등으로 위층 거주자가 고통을 호소하는 상담도 198건(18.0%)을 기록했다. lyj@kukinews.com
[쿠키영상] '눈밭의 혼인서약' 애견이 촬영한 특별한 결혼식 영상
[쿠키영상] '파도타기+아크로바틱' 탠덤서핑 즐기는 세계 챔피언 커플
[쿠키영상] 불쑥 나타난 상어 "땡큐 공짜 참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