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소재 비뇨기과의원 원장 사망에 대해 사실 왜곡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또 고인의 사망사건을 지속적으로 언론에 노출해 유가족의 상심을 더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지난 연말 강릉시 소재 K비뇨기과의원의 원장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를 두고 의료계 일각에서는 건보공단의 현지조사 압박이라고 주장하며, 1인 시위를 비롯한 강력 대응을 진행 중이다.
요양기관 현지조사에 대한 논란은 하루, 이틀 된 문제가 아니다. 의료계를 위시해 “너무 강압적이다” “잘못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도 사과한마디 없다” “확정된 것도 아닌데 (의사 등) 범죄자 취급을 하고 있다” 등 많은 문제제기가 있어왔다.
이유 여하를 떠나 작금의 의료계 행보는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고인의 사망을 현지조사로만 몰고 갈 뿐 아니라, 고인과 유가족의 입장은 전혀 고려하지 않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특히 고인의 사망사건이 언론을 통해 지속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유가족이 받는 괴로움을 고민한 흔적은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
문제가 있다면 유가족측에서 먼저 문제를 제기했을 것이다. 고인이 현지조사 등으로 고민을 하고 있었다면 유가족이 그 상황을 가장 잘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번 사건과 관련해 일부에서는 과한 이슈화에 유가족이 불편해 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는 이유다.
물론 건보공단 등 정부기관도 자성이 필요하다. 지난해 안산시 의사의 사망 이후 개선하겠다고 밝혔음에도 이 같은 논란이 재발된 데는 노력이 부족했다고 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건보공단노조는 “(고인의 사망에) 공단의 책임은 없다”는 식으로만 주장하고 있다. 노조가 5일 배포한 자료를 보면 “대한의사협회와 비뇨기과의사회 등에서 사실을 심각하게 왜곡하는 등 우려할만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공단 지사를 방문한) 질의도 하지 않은 해당 K원장에게 건보공단 직원의 고압적 태도나 복지부 현지조사 의료협박 등의 정황 은 찾아보기 어렵다. 사실관계 확인을 요청한다면 당연히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라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무엇보다 “사람이 자신의 목숨을 끊는 데에는 매우 복합적인 요소가 오랜 기간 작용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이다”라며 “노동조합은 한 사람의 애통한 죽음을 의료계 일부에서 보험자인 건보공단과의 건강한 발전을 저해하는 수단으로 몰고 가는 것이 아닌가에 대한 우려를 지울 수가 없다”고 밝혀 보는 이들을 불편하게 했다.
이러한 노조의 주장에 되묻고 싶다. 수년전 건보공단 직원들이 5년간 41명이 사망했다는 자료가 발표됐을 당시 건보공단 노조는 “과중한 업무와 이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해 사망자가 많이 나왔다”고 주장했다. 왜 당시에는 “복합적인 요소 있었다”고 주장하지 않았나를.
의료계든, 건보공단이든 문제가 있다면 지적하는 것은 당연히 필요하지만, 최소한 사건의 당사자에 대한 배려는 해줘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다.
kioo@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