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정진용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反) 난민’ 행정명령의 파문이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다.
행정명령의 골자는 테러위험 국가 국민에 대한 비자발급 중단과 난민 입국 프로그램 4개월간 중단 및 난민 심사 강화다. 특히 이번 행정명령은 이라크, 시리아, 이란, 수단, 리비아, 소말리아, 예멘 등 이른바 테러위험 7개 무슬림 국가 출신 미국 영주권 소지자에게도 적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위법 논란도 일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당장 한 시민단체는 이번 행정명령이 불법이라며 백악관을 상대로 소송을 공식적으로 제기했다. 또 이 조치가 시행되며 벌써 미국행 비행기 탑승 거부, 미국 도착 후 공항 억류 등의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AP, AFP 통신 등에 따르면 28일 이집트 카이로를 떠나 미국 뉴욕으로 향하는 이집트항공 여객기를 타려던 이라크인 5명과 예멘인 1명의 탑승이 거부됐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이 발동된 직후 뉴욕 존 F. 케네디 국제공항에 도착한 이라크 난민 2명이 공항에 억류됐다고 보도했다.
백악관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미국시민자유연맹(ACLU)은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평등’에 대한 전쟁이 이미 끔찍한 인적 피해를 낳고 있다” 면서 “이런 (테러위험국 무슬림 입국) 금지 조치가 계속돼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다른 국가 수장들의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세계 질서를 뒤흔드는 트럼프의 정책에 유럽이 대항하자는 메시지를 던졌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는 트위터에서 “박해, 그리고 테러와 전쟁을 피해 도망온 사람들에게 ‘캐나다 국민은 종교와 관계없이 여러분을 환영한다’는 점을 밝힌다”면서 “다양성은 우리의 힘이다. 캐나다에 오는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전 세계적으로 파문이 확산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은 무슬림 (입국)금지가 아니다”라고 강변했다.
이란은 ‘모욕적 처사에 대해 동일하게 맞대응하겠다’면서 이를 철회할 때까지 미국인의 이란 입국을 금한다고 경고했다.
jjy4791@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