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한성주 기자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확산 이후 여성 노동자의 입지가 축소됐다.
26일 여성가족부는 배호중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이 ‘2020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를 분석한 주요 결과를 공개했다.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여성 취업자는 1163만3000명으로, 2019년 같은기간 1190만3000명보다 27만명 감소했다. 지난해 10월 전국 여성고용률은 51.1%로, 대전(+1%p), 전북(+2.6%p), 전남(+1%p)을 제외하고 2019년 동월대비 모두 줄었다. 특히, 부산(-2%p), 울산(-3.5%p), 경기(-3%p)는 전년동월대비 2%p 이상 감소했다.
연령, 종사상지위 등 지역의 노동시장의 구조가 지역의 산업과 연결되어 지역별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취업자의 연령별 비중을 살펴보면, 세종, 울산, 경기는 30~54세 비중이 55%가 넘었다. 반면 전남, 경북, 전북은 55세 이상 비중이 42%를 넘었다.
구체적으로 세종, 울산, 경기는 30~49세 연령층 취업자가 가장 많은 산업인 ‘교육서비스업’에서 여성 취업자 비중도 컸다. 전남, 경북, 전북은 50세 이상 연령층 취업자가 많은 ‘농업’과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여성취업자 비중이 컸다.
여성취업자의 종사상 지위별 비중을 보면 상용직 근로자 비중은 ‘세종’이 가장 컸다. 임시직 근로자 비중은 ‘인천’, 비임금 근로자 비중은 ‘전남’이 가장 컸다. 17개 시·도에서 공통적으로 여성취업자 비중이 큰 산업은 음식점및주점업, 사회복지서비스업, 소매업(자동차 제외) 등으로 파악됐다.
여성가족부는 코로나19로 인한 여성 고용위기에 대응해, 여성 고용충격 회복과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격차 해소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일자리가 필요한 여성들을 위해 공공과 민간분야에서의 추경 예산을 통한 여성일자리 사업을 착수·추진 중이고, 경력단절여성 등의 노동시장 복귀를 위한 취·창업 지원 노력도 병행했다.당초 예산을 활용한 직접일자리 외에, 올해 추경을 통해 디지털, 방역, 돌봄, 환경 등 서비스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분야를 중심으로 약 3만7000개 이상의 여성일자리를 추가 창출했다.
경력단절여성 등에게 일경험 기회를 제공하는 새일여성인턴은 7700명을 연계 지원했다. 경력단절 여성 과학기술인 163명이 연구개발(R&D) 현장 경력복귀를 위한 연구과제에 참여했다. 경력단절여성 특화형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으로 66개 지방자치단체를 선정했다. 올해 처음으로 도입된 경력단절여성 범부처 통합취업지원서비스는 8개 부처에서 실시하는 전문인력 양성훈련 수료자를 대상으로 새일센터에서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코로나19로 가중된 여성의 돌봄 부담을 완화하고, 여성들이 노동시장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용유지 지원도 강화했다. 3월부터 코로나19로 인한 부분 등교·등원으로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정부지원비율 기존 0~85%에서 40~90%로 상향해 가계 부담을 완화했다. 방문 돌봄 종사자 등 9만9000명에게 생계비를 지원했고, 기업 내 재택근무를 안착시키기 위한 재택근무 종합 컨설팅도 309개 사업장에 지원했다.
생애주기별 경력단절 위기와 직장복귀를 지원하는 경력단절 예방 서비스 지원 기관을 15개소 확대했다. 지원 기관은 고충·노무 등 전문상담, 기업 직장문화 개선 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대학원생 공학연구팀제 지원 사업으로 516명의 여학생을 지원했다. 여대학원생 공학연구팀제 지원사업은 여자 대학원생이 연구책임자가 되어 대학생, 중·고등학생들과 팀을 이루어 연구비를 지원받아 7개월간 공학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김경선 여성가족부 차관은 “여성 고용 지표가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인해 대면서비스업 일자리가 감소할 경우 여성 고용 상황이 다시 악화될 수 있다”며 “중앙-지방 여성고용 실무협의회를 통해, 여성일자리 대책 추진상황을 꼼꼼히 점검해 현재의 여성 고용 개선 흐름이 지속가능한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castleowner@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