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째 감기 기운이 있어서 자가검사키트를 했는데 음성이 나왔어요. 그래도 계속 불안해요.”
“자가검사키트는 위음성이 많다고 들어서, 믿을 수가 없어요. 키트에선 ‘음성’이었는데 PCR검사에서 ‘양성’을 뜨는 경우도 간혹 있다고 하던데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진단·검사체계가 바뀌며 고위험군이 아니면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을 확인해야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자가검사키트의 정확도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은 여전한 상황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3일 이후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시행한 신속항원검사는 일 평균 30만건이다. 약국이나 편의점 등에서 구매해 개인이 자가검사키트를 사용한 것을 포함하면 실제 검사 건수는 이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온라인 커뮤니티 등지에선 자가검사키트에서 ‘양성’이 나왔지만, PCR 검사에서 ‘음성’이 나왔거나다, 그 반대의 사례가 발생했다는 이야기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의료계에서도 신속항원검사의 정확도를 우려하고 있다. 대한진단검사의학회는 신속항원검사의 민감도가 의료인이 시행했을 때 50% 미만, 자가검사 시 20% 미만으로 낮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의료인이 시행한다 하더라도 실제 감염자 100명 가운데 50명만 양성으로 판단하고, 일반인이 자가검사 시 20명밖에 걸러내지 못한다는 의미다.
신속항원검사가 강양성을 보이는 확진자 외에는 큰 효용이 없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었다. 김영진 대한임상미생물학회 홍보이사는 “300명의 코로나19 양성 환자로 신속항원검사를 시행한 결과 200명이 음성으로 나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며 “강양성 환자를 제외하고는 양성반응이 강하지 않은 감염자는 사실상 걸러내지 못한다는 이야기다. 실제 환자의 반 이상을 놓치는 게 아닌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일반적으로 항원검사는 실내온도가 15~30도 사이에서 이뤄진다. 하지만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는 그러한 내용이 없다. 양성이 나올 사람도 확인이 되지 않을 수 있다. PCR 검사와 비교하지 못할 수준”이라며 “스크리닝 과정에서는 최대한 많은 환자를 찾아내 전파를 막는 게 목적이다. 민감도가 높은 검사로 환자를 모아서 확인해야 하는데 신속항원검사를 우선 진행한 뒤 PCR 검사를 하는 게 맞나 싶다”고 우려했다.
자가검사키트에 대한 불안감이 지속되며 ‘신속PCR키트’ 활용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신속PCR키트는 1시간 이내로 PCR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국산 제품 2종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정식 허가를 받았다. 2021년 하반기 정도평가에서 조사된 신속PCR 제품을 사용하는 기관은 전국에 55개 기관이다.
국민의힘 이용호 의원은 “방역당국이 정확도와 신속도가 모두 높은 신속PCR 검사를 일선 의료기관에 조속히 확대해야 한다”며 “지난해 6월부터 신속PCR 시범사업을 추진하며 그 검사 결과에 대한 검증이 이뤄졌다. 신속PCR 검사 정확도는 실제 양성자를 양성으로 판단하는 민감도와 실제 음성자를 음성으로 판단하는 특이도가 각각 100%와 99.5%다. 방역당국은 신속PCR 검사를 일선 동네 병·의원에서도 활용 가능하도록 조속히 검토·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정부는 신속항원검사를 지속 활용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김갑정 중앙방역대책본부 진단총괄팀장은 18일 기자단 설명회에서 “감염병 상황과 역량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해 최선의 전략을 선택한 것”이라며 “한정된 역량을 고령층 등 치료가 필요한 집단으로 집중해 위험을 최소화해야 한다. PCR보다 신속항원검사가 정확도는 낮으나 최근 감염자를 찾아내는 데 기여하고 있다. 현재처럼 양성률이 높은 상황에선 신속항원검사 양성예측도 올라간다. 향후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안정적으로 검사받을 수 있게 지속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하루 기준 80만건까지 가능한 PCR 검사 역량을 활용해 고위험군 중심으로 검사를 진행하는 게 효율적이라는 판단이다. 하지만, 지난 3일 이후 PCR 검사는 계속 늘고 있다. 지난 14일에는 68만건이 이뤄지기도 했으며 확진자가 계속 증가해 PCR 검사역량 한계에 임박한 상황이다. 검사 정확도를 고려하면 PCR 검사를 최대한 확대하는 것이 좋지만, 검사를 수행할 전문인력과 시설, 장비가 필요해 단기간에 역량을 늘릴 수는 없다는 게 방역당국의 입장이다.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