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공황장애 환자가 20만540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7년 13만8736명에 비해 44.5% 증가한 수준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공황장애(F41.0)’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13일 발표했다.
공황장애는 갑작스럽게 심한 불안을 느끼며 죽을 것 같은 두려움이 느껴지는 공황발작을 특징으로 한다. 공황발작이 다시 일어나는 것에 대한 예기불안, 공황발작이 생길만한 상황에 대한 회피행동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
공황장애 환자는 연평균 9.6%씩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남성은 2021년 8만9273명으로, 2017년(6만4662명) 대비 38.1%, 여성은 11만1267명으로 2017년(7만4074명) 대비 50.2% 늘었다.
연령대별로 40대 환자가 가장 많았다. 2021년 전체 진료인원 중 40대가 23.5%(4만6924명)를 차지했다. △50대 19.2%(3만8519명) △30대 18.3%(3만6722명) △20대 14.3%(2만8709명) 순이었다.
공황장애 환자가 늘어남에 따라 진료비 총액도 급증했다. 2021년 공황장애 총 진료비는 910억원으로, 2017년(496억원) 대비 83.5% 증가했다. 1인당 진료비도 2017년 35만7000원에서, 2021년 45만4000원으로 27% 늘었다.
박재섭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일반적으로 공황장애는 초기 성인기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면서도 “국내에서 40대에 공황장애 환자가 많은 것은 초기 성인기에 치료하지 않고 악화된 후에야 뒤늦게 진료를 시작하거나, 초기에 꾸준히 치료하지 않아 만성화하거나 재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공황장애는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하면 대개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데 지장이 없다. 하지만 방치할 경우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박 교수는 “치료시기를 놓치면 자주 재발하거나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만성화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며 “심한 경우 사회생활, 직업 활동을 하지 못하게 되면서 심한 우울증에 빠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공황장애의 예방법에 대해선 “아직까지 공황장애를 100% 예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진 것은 없다”면서도 “일반적인 건강생활 수칙을 잘 지키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예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규칙적인 운동이나 취미, 휴식 등을 통해 스트레스나 신체적 긴장이 쌓이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지나친 음주나 카페인 섭취 또한 자율신경계 균형을 무너뜨릴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다”면서 “자율신경계는 감정과 밀접한 영향을 주고받는 만큼 부정적 감정을 억누르기보다는 적절한 방법으로 표현하고 해소하기 위해 연습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