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지원센터는 지난해 1월에 '지역중소기업 육성 및 혁신촉진에 관한 법률'이 시행돼 도내 중소기업 밀집지역에 위기 징후를 파악할 수 있는 대응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추진됐다.
위기지원센터는 경남테크노파크가 수행하고, 총사업비 5억원(국가직접지원 3.5억, 도비 1.5억)을 투입해 중소기업 밀집지역의 사업장 수, 종사자 수, 총급여, 기업연체율 등의 주요 경제지표 증감률을 모니터링하고 위기징후 단계를 분류한다.
중소기업 밀집지역의 위기징후 단계는 위기징후 판단기준의 부합 정도에 따라 양호, 주의, 심각의 3단계로 구분한다.
분류에 따라 ‘양호’ 및 ‘주의’ 단계 밀집지역 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위기 현황, 위기의 원인 및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온라인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온라인 실태조사 분석 결과에 따라 경영위기 상황이 포착된 기업에 심층 현장조사를 실시해 심층 진단과 시사점 도출을 통한 맞춤형 지원방안을 마련한다.
또한 집단심층면접(FGI) 협의체를 구성 및 운영해 중소기업 체감경기를 파악하고 현장 의견수렴을 통해 대응방안을 마련한다.
기업 심층 현장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위기진단 기업에는 긴급 맞춤 지원을 제공한다.
지원 내용은 전문가컨설팅, 기술지원(시험, 성능분석, 특허출원 등), 사업화(마케팅 전략수립, 디자인 개발 등) 중 기업이 선택하는 1개 분야에 최대 800만원을 지원한다.
중소기업 밀집지역 위기징후가 '심각'단계일 경우에는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지정을 신청해 지정 시 세제혜택, 계약 우대, 중기부 사업 우대 등을 통해 지역중소기업의 위기극복을 지원할 예정이다.
◆경상남도, '산업 디지털 전환 협업지원센터 지정사업' 공모 선정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 디지털 전환 협업지원센터 지정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이번 공모 선정은 민간의 디지털 전환(DX) 전문성과 기업 네트워크를 보유한 한국전자기술연구원(동남권지역본부)과 (재)경남테크노파크가 협력체(컨소시엄)를 구성하고 경남도가 예산을 지원하는 등 타 기관과 차별화된 협업체계를 구축해 노력한 결과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의 전자・정보기술(IT) 분야 전문생산 연구기관이며 경남테크노파크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는 지역제조혁신센터로 부처 간 디지털 전환 협업 지원이 이뤄진 셈이다.
'산업 디지털 전환 협업지원센터 지정사업'은 민간 주도로 통합 디지털 전환 지원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이를 통해 △경남의 기업 가치사슬(밸류체인)을 중심으로 주력업종별 디지털 전환 신규사업을 발굴할 디지털 전환 동맹(DX 얼라이언스) 운영 △디지털 전환 역량을 높이기 위한 전문인력 양성 및 전문가 컨설팅 지원 △디지털 전환을 통해 생성된 산업데이터의 활용 촉진 등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2027년까지 5년간 국비 22억5000만원을 포함해 총 45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할 예정이다.
협업지원센터는 2019년부터 사람중심의 미래형 산업단지 조성과 창원 국가산업단지의 제조혁신을 위해 추진된 ‘스마트그린산단 조성사업’과도 연계돼 운영될 예정이다.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이 구축해 2021년 7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 중인 ‘스마트제조 공정혁신센터’를 기반으로 한다.
경남테크노파크의 ‘지역제조혁신센터’와 디지털 전환 수요가 많은 창원시・김해시 등 시군과 협업해 내실 있는 지원이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다.
경남도는 전국에서 두번째로 스마트공장을 많이 구축했으며 디지털 전환 추진 역량과 의지가 있는 기업이 다수 포진하고 있다.
류명현 경남도 산업통상국장은 "비수도권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디지털 전환 협업지원센터 지정인 만큼 이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으로 디지털 전환을 통한 제조혁신에 선도적인 지자체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