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이후 의대 증원에 따른 의료계 파업 우려가 커진 가운데 정부가 비상진료체계 점검에 나섰다. 진료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 지역 보건소에 자체 비상진료대책을 마련하도록 했다.
보건복지부는 8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를 열고 관계 부처 9곳과 함께 향후 집단행동에 따른 진료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행정안전부, 교육부, 고용노동부, 국가보훈부, 국방부,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방청, 경찰청 등이 참여했다.
공공 보건의료기관은 자체 비상진료대책을 마련하고, 응급상황에 대비해 관계 기관 및 복지부와 비상 연락망을 유지하기로 했다. 또 동네에 문 여는 병원 등 비상의료기관 정보를 각 부처의 홈페이지를 통해 안내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정통령 중앙비상진료상황실장은 “관계 기관 협력으로 병원별 상황에 맞는 탄력적 비상진료대책을 조속히 수립하고, 필수의료 등 진료에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긴밀히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
복지부는 지난 6일 의대 정원 증원 규모를 발표한 직후 중수본을 설치하고, 보건의료 위기 단계를 ‘경계’로 상향했다. 보건의료 위기 단계는 ‘관심→주의→경계→심각’으로 나뉜다. 복지부는 지난해 12월 대한의사협회 총파업 찬반 투표와 총궐기대회 예고에 따라 보건의료 위기단계를 ‘관심’으로 조정한 바 있다.
전날에는 행안부·법무부·국방부·경찰청과 중수본 회의를 개최해 의사단체의 집단행동에 대한 범부처 신속 대응체계를 구축해 공동 대응해나가기로 했다.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