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5일 (화)
‘붉가시 열매‧참바늘버섯’ 식품원료 등재

‘붉가시 열매‧참바늘버섯’ 식품원료 등재

전남산림연구원, 토종 산림자원 식품화 연구 노력 결실

기사승인 2024-12-03 11:28:31
붉가시나무는 상록성 참나무로 전국의 82%인 1천496ha가 전남에 자생하고 있다. 열매인 도토리는 예로부터 가루로 만들어 도토리묵이나 죽 등으로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전남산림연구원
신영삼 기자
news032@kukinews.com
전남산림연구원은 전남에 자생하는 대표적 난대수종인 붉가시나무 열매와 국내 최초로 인공 재배에 성공한 참바늘버섯을 식약처 식품원료 목록에 신규 등재, 식품으로 활용할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붉가시나무는 상록성 참나무로 전국의 82%인 1천496ha가 전남에 자생하고 있다. 열매인 도토리는 예로부터 가루로 만들어 도토리묵이나 죽 등으로 먹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식약처 식품원료로 등재되지 않아 원료로 사용할 수 없어 토종자원 식품산업화에 걸림돌로 작용했다.

현행 식품위생법상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식품의 제조, 가공, 조리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원료는 반드시 식약처 식품원료 목록에 등재돼야 한다.

이에 전남도산림연구원은 토종자원의 식품산업 활성화를 위해 전남바이오진흥원 천연자원연구센터와 함께 식품화 연구 노력을 기울였다. 붉가시나무 열매에 대한 식용 근거 옛 문헌자료를 찾아내 식약처 식품원료 유관기관 협의체 심의 안건으로 건의 후 심의 절차를 거쳐 지난 8월 행정예고를 했고, 11월 말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24-71호(식품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 고시)에 따라 식약처 식품원료로 최종 등재됐다.

참바늘버섯은 한국과 일본 등에서 자생하며 가을철 활엽수 고사목에서 자생한다. 과일향이 나는 야생버섯으로 기능성이 우수해 일본에서는 가을철에 자연산으로만 거래되는 값비싼 버섯이다. 전남산림연구원
참바늘버섯도 함께 식품원료로 등재됐다. 참바늘버섯은 한국과 일본 등에서 자생하며 가을철 활엽수 고사목에서 자생한다. 과일향이 나는 야생버섯으로 기능성이 우수해 일본에서는 가을철에 자연산으로만 거래되는 값비싼 버섯이다.

이에 전남도산림연구원은 참바늘버섯의 지속적인 연구 끝에 국내 최초 인공재배에 성공해 농가 기술보급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국내 식품원료로 등재되지 않아 지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산림청 연구개발(R&D)을 통해 실용 재배 최적화 기술과 안전성 평가 검증연구를 거쳐 2020년 9월 ‘한시적 식품원료’로 등재됐다. 이후 심의를 거쳐 한시적 기준·규격에서 전환된 원료의 목록에 지난 11월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24-71호(식품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 고시)로 등재됐다.

전남도산림연구원은 앞으로도 토종 산림자원의 식품소재화와 산업화를 위해 식약처 식품원료 미등재 자원에 대한 식품원료 등재 연구를 지속해서 추진할 계획이다.

오득실 원장은 “앞으로도 식품소재로서 가치가 있는 미등재 토종 산림자원을 선제적으로 발굴해 안전성과 식용 근거를 입증해 식품원료로 등재하겠다”며 “최근 준공된 산림바이오 거점시설을 적극 활용해 산림바이오 식품 산업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신영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트럼프 관세’가 게임업계에 불러올 딜레마

국내 게임업계가 딜레마에 놓였다. ‘보장된 시장’ 중국과 ‘기회의 땅’ 미국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때문이다.15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이 게임업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행정부는 중국에 최대 14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반도체 등 전자제품 상호관세 여부는 불명확하지만, 대(對) 중국 기조가 거세짐에 따라 관세 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