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 박달조 한국과학원(현 KAIST) 제2대 원장, 박성현 서울대 명예교수, 고 심문택 국방과학연구소(ADD) 전 소장, 이서구 이화여대 석좌교수, 채영복 ㈔원정연구원 이사장, 고 최남석 LG화학기술연구원 전 원장이 과학기술유공자에 이름을 올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들 6명을 과학기술유공자로 추가 지정했다고 12일 밝혔다.
고 박달조 원장은 불소화학 분야 세계적 권위자로, 냉매와 코팅제 등 다양한 불소화합물을 개발해 산업발전에 기여했고, 한국과학원을 이끌며 응용과학 중심 인재양성 기반을 마련했다.
박성현 명예교수는 우리나라에 현대통계학을 도입하고 통계적 품질관리를 산업현장에 적용해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다양한 통계학 저서를 발간하며 국내 통계학 학문체계를 확립하는 등 세계적 석학으로 인정받고 있다.
고 심문택 소장은 국방과학기술의 기틀을 마련하고 국방 연구개발을 이끌며, 번개사업, 백곰미사일 개발, 율곡사업 등을 성공으로 이끌어 자주국방 확립과 방위산업 발전에 공헌했다. 아울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재직 시 국가산업 기초조사와 기계공업 육성 등 정책연구에 참여해 우리나라 중화학공업 발전계획 수립에 기여했다.
이서구 석좌교수는 세포신호전달 연구의 선구자로, 세포 내 신호전달 기본물질인 인지질분해효소(PLC)를 최초로 분리정제하고 유전자를 찾아내 세포신호전달 기전을 규명했다. 또 과산화수소의 세포 내 역할, 새로운 항산화효소 퍼옥시레독신(Prx) 발견 등 우리나라 생명과학 향상에 기여했다.
채영복 이사장은 생리활성 화합물의 새로운 합성법을 개발해 수입에 의존하던 정밀화학제품의 국산화에 기여하고 관련 산업발전의 토대를 구축했다. 또 과학기술 행정가로서 과학기술인공제회 설립,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조성, 최고과학기술인상 제정, 국가기술지도(NTRM) 작성 등 과학기술인 복지증진과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제고에 기여했다.
고 최남석 원장은 오디오·비디오테이프 기초 소재인 폴리에스터필름을 국내 최초로 개발해 국산화에 기여했고, 고분자 물질인 크로노머 최초 합성에 성공해 약물전달 분야 발전에 기여했다. 아울러 바이오, 정보전자소재, 정밀화학 등의 산업화 초석을 마련하고, 민간연구소 활성화를 선도했다.
과기정통부는 2017년 과학기술유공자 제도를 시행, 지금가지 총 91명을 지정했다.
이중 이휘소, 우장춘, 이호왕 등 대표적 과학기술유공자 16인의 생애, 업적, 연구과정을 소개한 교육만화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과학으로 우리나라를 빛낸 사람들’을 최근 출간, 교육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