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이하 생명연)이 개원 40주년을 맞아 국가 바이오기술 견인을 다짐했다.
대한민국 첨단바이오 발전 주도
생명연은 4일 본원 대강당에서 제40주년 기념식을 열고 연구원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와 우수근속직원을 포상했다.
이번 KRIBB상은 세계 최초로 단일분자 수준에서 측정가능한 고효율 신약발굴용 나노포어 센서를 개발한 ‘구조생물학 및 나노포어 연구팀’, 유전성·강직성 하반신 대마비의 원인 유전자인 ARL6IP 기전을 규명한 ‘질환모델링&치료기술 연구팀’이 우수논문상의 영예를 안았다.
아울러 ‘위장 튼튼·오가노이드 연구팀’은 우수기술개발상을, 이영전 국가영장류센터 책임연구원은 우수인프라상을, 사업기획팀과 사업지원실이 우수행정상을 각각 수상했다.
또 이날 생명연 원장을 역임한 복성해 바이오뉴트리젠 대표이사가 발전기금 1억 원을 기부해 눈길을 끌었다. 바이오뉴트리젠은 간 건강회복 식품소재 등 건강식품과 식품첨가제를 개발하는 기업으로, 대표 제품인 JBB20은 프랑스, 러시아의 임상실험에서 치료성능을 보였다.
이어 특별강연에는 생명연 책임연구원이자 연구소기업 진코어 대표이사인 김용삼 박사가 ‘과학과 기술이 만났을 때’를 주제로 발표했다. 진코어는 초소형 유전자가위기술로 글로벌 제약사에 4500억 원 규모 기술이전에 성공했다.
글로벌 바이오연구기관 자리매김
생명연은 1985년 예산 16억 원, 직원 90여 명으로 설립된 이래 현재 예산 2300억 원, 인력 1300명을 보유한 우리나라 대표 바이오 연구기관으로 발돋움했다.
지난 40년간 생명연은 초소형 핵산분해효소 활용 유전자가위기술 개발, 항암 유전자치료제 CAR-NK 플랫폼 구축 및 상용화 등 바이오기술을 선도하며 산·학·연·병 연구개발 역량을 결집했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전략기술 핵심 분야인 첨단바이오 발전을 이끌고 있다.
실제 생명연은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기술개발사업단과 글로벌 TOP유전자·세포치료 전문연구단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선정되어 출연연 간 개방·협력을 통한 국가 전략기술을 확보 중으로, 올해부터 1260억 원 규모 바이오파운드리 인프라 구축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김장성 생명연 원장은 “우리 연구원이 대한민국 바이오를 이끌어 가는 중심축이 되기 위해 위대한 도약을 할 때”라며 “끊임없이 성장하고 노력해 위대한 연구원을 만드는 여정에 모든 임직원이 적극 동참하자”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