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영주시 2024년 출생아 수가 330명으로 전년 대비 18명 증가했다.
6일 시에 따르면 2024년 출생아 수 증가는 최근 10년간 지속된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전환된 첫 사례로, 다양한 출산 장려 정책이 효과를 냈다.
시는 가임기 여성부터 출산가정까지 맞춤형 지원 정책을 추진해왔다. 대표적으로 국립산림치유원과 연계한 ‘너를 기다리는 설레임(林)’ 숲 태교 프로그램을 운영해 임신부와 배우자가 태아와 정서적으로 교감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또 ‘축복받은 우리아기 희망출발 프로젝트’를 통해 임산부 240명을 대상으로 임산부 교실을 운영하고 산전검사 지원을 확대했다.
출산가정을 위한 경제적 지원도 강화했다. 둘째아 이상 출산가정에는 국민행복카드를 활용한 첫만남이용권 300만원을 지급하며, 필수 육아용품이 담긴 출산 축하 박스도 제공한다.
특히 경북 도내 최초로 산후조리비 100만원과 출생 축하금 50만원을 지원하며, 출생장려금은 첫째아 월 20만원(12개월), 둘째아 월 30만원(24개월), 셋째아 이상 월 50만원(36개월)으로 차등 지급한다.
분만 취약지 산부인과를 운영 중인 영주기독병원에서는 24시간 출산 가능한 환경을 조성했으며,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을 출산당 최대 25회까지 확대해 경제적 부담을 줄였다.
지역사회와 협력한 차별화된 출산 장려 정책도 눈길을 끈다. △ 산모한방첩약(한의사회) △ 가정용 구급함(약사회) △ 유아용 의자(노벨리스코리아) △ 육아용품 지원(KT&G 영주공장) △ 백일사진 촬영(이동기·비츠로 스튜디오) △ 산모 홍삼미용세트(풍기인삼농협) △ 임신부 온천 무료 이용(소백산풍기온천 리조트) △ 출산 사연 게재(영주신문·영주시민신문) 등 지역 단체와 기업이 함께하는 지원 사업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김문수 영주시 보건소장은 “출생장려사업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더 많은 임산부와 출산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아이 낳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국내 출생아 수는 전년 대비 3.1% 증가하며 9년 만에 처음 증가했다. 경북도 내에서도 영주시와 문경시의 출생아 수가 각각 18명, 33명 증가해 인구 감소세 완화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