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은 17일 "박형준 부산시장은 하윤수 전 교육감을 14일 부산시 교육정책 고문으로 위촉한 것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당은 "하 전 교육감은 지난해 12월 12일 공직선거법 등 위반 혐의로 대법원에서 벌금 700만원 형을 받아 당선무효가 확정됐다"면서 "판결문에 잉크도 마르기 전에 그에게 다시 부산 교육정책의 핵심 자문 역할을 맡긴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하 전 교육감 고문 위촉은 교육감 재선거와 2026년 박형준 시장의 3선을 위한 사전포석이라는 의심을 피하기 어렵다"면서 "교육정책에 대한 진지한 고민보다는 정치적 이해득실에만 관심을 둔 것은 아닌지 자신들을 돌아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교육감 재선거로 부산시민이 부담해야 할 세금은 막대하며 혈세를 부담하게 만든 장본이 바로 하 전 교육감"이라며 "박 시장이 하 전 교육감 고문 위촉을 즉시 철회해야 하든지, 하 전 교육감 스스로 자리를 반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매일 부산시청에서 1인 피케팅 시위를 이어가고 있는 민주성지부산지키기 시민운동본부(상임대표 신병륜)도 17일 부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하윤수 전 부산교육감 부산시 교육정책고문 위촉 즉시 철회를 촉구했다.
또, 학부모 연대의 남성 학부모 A씨는 본지와의 전화 통화에서 "부산시장이 하윤수 전 교육감을 교육정책 고문으로 위촉한것은 조폭과 같은 행태아닌가? 우리가 남이가로 그냥 부산시민은 안중에 보이지도 않는다는 이야기를 하는것 아닌가? 너무도 불쾌하고 언급할 가치도 없다"라고 말했다.
부산시 담당자는 "정책고문이라는 자리가 특별한 의미보다는 자문을 구하기 위한 방편 정도이다. 교육청과 다양한 사업을 해왔기에 고문으로 위촉한 것이다"라고 밝혔다.
하 정책고문은 부산시 맞춤형 지역 교육 현안에 대한 정책 자문과 교육 관련 기관들과 협력 체계 구축 등의 역할을 맡게 됐으며, 임기는 2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