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는 25일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개발제한구역 국가·지역전략사업’ 공모에서 전국 15개 사업 중 4개 사업이 선정돼 전국 최다 지구가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이번 공모에서 선정된 사업은 △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 △창원 도심융합기술(R&D)단지 △진영테크업 일반산업단지 △도심생활 복합단지로 산업단지 3개소와 도시개발사업 1개소가 포함된다.
이로써 경남은 개발제한구역 내 1092만㎡(330만평)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물류․방위산업 R&D센터․산업단지 등 경남 주력사업의 성장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개발제한구역 국가·지역전략사업 최다 지구 선정은 민선 8기 출범 이후 경남도가 부울경 3개 시·도가 협력해 추진한 제도개선 노력의 성과다. 개발제한구역 해제 및 규제 개선을 위해 대통령실, 국회, 국토교통부 등에 지속적으로 건의했다.
특히 올해 국내 정세 불안 속에서도 1월 17일 시도지사협의회 임원 간담회에서 경남도는 국가‧지역전략사업 정상 추진을 강력하게 건의하는 등 행정력을 집중했다.
경남도는 창원시, 김해시, 양산시의 개발제한구역 내 12개 사업을 신청했으며 국토교통부와 국토연구원의 사전평가(24년 6월~11월),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25년 2월 19일) 등을 거쳐 25일 국무회의에서 최종 4개 사업이 확정됐다.
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는 진해·부산항 신항의 물동량 증가, 항만 증설 및 가덕도 신공항 건설 등에 대비한 물류 거점으로 트라이포트(항만-공항-철도) 기반의 첨단 복합 물류 플랫폼을 구축한다.
기존 해양 매립 방식이 아닌 육상 개발을 통해 신속한 사업 추진과 효율적 토지 이용이 가능해졌다. 이번 공모사업 선정으로 진해·부산항 신항 배후단지는 기존 규모의 2.7배로, 점유율은 94.5%(면적 1102만㎡, 기존 404만㎡, 추가 698만㎡)로 증가하며, 글로벌 항만․물류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남도의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확대 시책도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진해신항과 가덕도신공항 개발로 인한 물류‧업무시설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투자자의 정주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필수적인 배후도시로 계획했던 성내(구 백일)‧남양(구 황포) 지구와 원포지구까지 개발가용지를 확장함으로써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를 확대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는 해양수산부의 ‘제4차 항만배후단지개발 종합계획’과 경남연구원의 ‘트라이포트 배후단지 수요추정 연구’ 결과를 반영해 698만㎡(산업시설 298만㎡, 주거시설 100만㎡, 상업시설 12만㎡, 공공시설 등 기타 288만㎡) 규모로 조성할 계획이다. 조성단계에서 직접 투자 2.0조원, 생산 유발 4.1조원, 고용유발 2만6107명, 조성 이후 단계에서 연간 생산액 7.3조원, 일자리 창출 1만4591명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

창원 도심융합기술(R&D)단지는 국립창원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전기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재료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조선해양기술연구원 등과 협력해 창원대 부지 내 국책연구원을 설치하고 지역 핵심 산업과 연계한 연구개발을 촉진하는 ‘도시융합 R&D 클러스트 거점’을 조성한다.
도심융합기술(R&D)단지는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해 지역 전략산업의 연구개발을 활성화하고, 첨단 기술력과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지역대학 중심의 연구개발 혁신시스템을 구축해 청년층이 선호하는 ‘도심형 첨단산업 좋은 일자리’ 확대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방산 소재‧부품 연구개발, 기업 지원, 인력 양성 플랫폼을 조성해 국내 및 지역 방위산업을 선도할 방산 R&D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창원 도심융합기술(R&D) 단지는 ‘경남 산업입지 수급계획 보고서(2016~2025)’ 와 입주 수요조사 결과를 반영해 227만㎡(R&D센터 등 산업시설 50만㎡, 주거시설 29만㎡, 공공시설 등 기타 148만㎡) 규모로 조성할 계획이다. 조성단계에서 직접 투자 0.8조원, 생산 유발 1.3조원, 고용유발 1만4802명, 조성 이후 단계에서 연간 생산액 1.2조원, 일자리 창출 2464명의 경제적 효과가 기대된다.
김해 진영테크업 일반산업단지는 ‘경남 산업입지 수급계획 보고서(2016~2025)’ 와 입주 수요조사 결과를 반영해 70만㎡(산업시설 45만㎡, 공공시설 등 기타 25만㎡)를 조성할 계획이다. 조성단계에서 직접 투자 0.3조원, 생산 유발 0.6조원, 고용 유발 2629명, 조성 이후 단계에서 연간 생산액 1.6조원, 일자리 창출 2300명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
도심생활 복합단지는 경남 지역의 외국인력 유입 증가와 초고령화 대응을 위해 마산역 주변 노후화된 주거․상업․공공시설을 재정비하고 복합 개발을 유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외국인 지원 플랫폼, 교육센터, 주거시설(공공임대주택) 등을 집적화해 경남 지역 외국인 지원의 구심적 역할을 강화하는 동시에 마산역 미래형 환승센터 개발과 연계해 주거․상업․업무시설이 조화된 복합 배후단지를 조성한다. 이를 통해 시니어, 외국인, 청년층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창원 도심생활 복합단지는 ‘경남 산업입지 수급계획 보고서(2016~2025)’와 입주 수요조사 결과를 반영해 97만㎡(복합시설 26만㎡, 공공시설 등 기타 71만㎡)를 조성할 계획이다. 조성단계에서 직접 투자 0.3조원, 생산 유발 0.5조원, 고용유발 5728명, 조성 이후 단계에서 연간 생산액 0.6조원, 일자리 창출 1234명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경남도는 이번 국가·지역전략사업 선정과 동시에 부동산 투기 방지를 위해 창원시와 김해시 일원 4개 지구(6295필지, 1092만㎡)를 3년간('25.3.2~'28.3.1)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다. 2023년 3월 국가산단 후보지로 지정된 창원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업단지는 이미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지정('23.3.20~'26.3.19)돼 관리 중이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이번 국가·지역전략사업 선정을 통해 대규모 개발가용지를 확보하면서 지속 가능한 성장의 발판을 마련했다"며 "희망의 경남을 열어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남도, 2025년 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 보건복지부 공모 2개소 선정
보건복지부 주관 ‘2025년 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 공모에서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과 마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선정됐다.
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은 지역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지역에 사회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청년에게는 사회활동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주민에게는 청년의 역량과 창의력을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이번 공모를 통해 경남도 2개소를 포함해 전국 17개 사업단이 신규로 선정됐으며 각 사업단은 사업비 7050만원을 지원받게 된다.

청년사업단은 단장(교수) 1명, 슈퍼바이저 1명, 행정인력 1명으로 사업단을 구성하고, 제공인력 중 19~34세의 청년을 70% 이상 채용해 3월부터 12월까지 초등돌봄 등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초등학생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나 한부모 가정을 대상으로 5개월간 예술(음악) 분야 초등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가격은 월 24만원이고 소득 수준에 따라 서비스 가격의 5~100%를 본인이 부담하고 이용할 수 있다.
마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은 19세~34세 청년을 대상으로 3개월간 운동 및 건강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청년신체건강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가격은 월 24만원이고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서비스 가격의 10%를 본인이 부담하고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