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영덕군이 산불 피해 종합 복구계획을 내놨다.
분야별 계획을 세워 일상 회복에 주력한다는 구상이다.
김광열 군수는 17일 군청 3층 회의실에서 긴급 브리핑을 갖고 산불 피해 종합 복구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22일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청송을 거쳐 25일 영덕으로 번졌다.
28일 주불이 잡혔지만 10명이 숨지고 56명이 다치는 등 인명·재산 피해가 속출했다.
군은 지난달 31일 산불 피해자 통합지원센터를 설치, 본격적인 이재민 지원에 나섰다.
이재민 임시 주거시설 특별 추진 TF는 지난 9일 의성 산불로 피해가 발생한 5개 시·군 최초로 산불 피해 주택 철거작업에 들어갔다.
이번에 수립된 종합 복구계획 핵심은 일상 회복이다.
주택 분야의 경우 다음달 말까지 임시 주거시설을 조성, 이재민들의 일상 복귀를 앞당긴다.
현재까지 접수된 임시 주거시설은 916동이다.
임시형은 최대 2년간 무상으로 사용한 후 반납해야 한다. 영구형은 최대 2년간 무상으로 사용한 후 매입해야 한다. 4인 이상일 경우 1동이 추가 지원된다.
산림 분야 피해도 크다. 송이 생산지역 6500ha 중 4500ha가 불에 타 13년 연속 전국 최대 송이 생산지 명성은 옛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당장 내년부터 생산량 60%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군은 5~7년을 내다보고 벌채, 조림, 사방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농업 분야는 가구 수에 따른 생계비, 농기계 지원 등이 이뤄진다. 어업 분야는 전소 어선 폐기물 처리, 개인 어망·어구 구입비 등이 지원된다.
소상공인 분야는 정전 피해 복구, 행정·금융 지원 등이 추진된다.
지역 관광 활성화 분야는 블루로드 우선 복구, 단체 관광객 인센티브, 관광택시 시범 운영 등을 통해 활로를 찾는다.
김광열 군수는 “일상 회복을 위해 복구작업을 서두르겠다”면서 “산불 직후 침체된 지역경제도 되살리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