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무공해 차량인 수소차 보급 확대에 나서고 있지만 전남지역 수소차 보급률이 바닥세를 보이고 있다. 인프라 부족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전남도에 따르면 정부는 2030년까지 30만 대 보급, 충전소 660기 설치를 목표로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추진 중이다.
전남도 역시 올해 411억 원을 투입해 승용차 760대, 저상버스 61대, 고상버스 44대 등 총 865대의 수소차 보급을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올해 1분기까지 보급된 수소차는 승용차 16대, 저상버스 3대 등 총 19대로, 집행률이 2%를 겨우 넘기면서 보급 목표 달성이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수소차 보급률이 낮은 원인으로 충전소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전남지역에서 현재 운영 중인 수소충전소는 여수 3곳, 목포, 순천, 광양, 장흥, 함평, 장성이 각각 1곳씩 7개 시‧군에 총 9곳이며, 오는 5월부터 목포시와 광양시에 추가로 1곳 씩이 운영에 들어간다.
또 2026년까지 나주, 고흥, 영광에 각각 1곳씩 총 3곳이 추가 확충될 예정이다.
이 같은 추가 확충에도 전남 22개 시‧군 중 12개 시‧군에는 여전히 충전소가 없다.
한국석유관리원 자료에 따르면 2025년 3월 기준 전남지역에 운영 중인 주유소가 848개소인 것과 비교하면 60분의 1에 그친다.
전남도 관계자는 수소차 보급률이 낮아 충전소가 늘지 않고, 부족한 충전 인프라 때문에 수소차 구매를 꺼리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인프라 확충을 위해 정부와 전남도가 나서야 하는 이유다.
최근 전남도의회 차영수(강진, 민주) 의원은 환경산림국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심사에서 “충전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도민들이 수소차 구매를 주저할 수밖에 없다”며 “차량 보급과 충전 인프라 확대는 함께 움직여야 하는 과제로, 전남은 충전소 구축 계획과 보급 실적을 연계한 실행 전략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수소차 구매시 차량 가격이 6900만 원인 승용차는 국비 2250만 원, 도비 500만 원, 시‧군비 700~1000만 원 등 최대 3750만 원의 보조금이 지원된다.
차량 가격이 6억3000만 원인 저상버스는 국비 2억1000만 원, 도비 2700만 원, 시‧군비 6300만 원 등 최대 3억 원, 차량 가격이 7억 원인 고상버스는 국비 2억6000만 원, 도비 3300만 원, 시‧군비 7700만 원 등 총 3억7000만 원의 보조금이 지원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