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안·아산은 국민의힘 소속 시장들이 잇따라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낙마한 지역이다. 그중 아산은 지난 4월 재선거를 통해 더불어민주당 오세현 시장을 뽑았고, 반면 천안은 내년 지방선거까지 1년을 부시장의 시장권한대행 체제로 가야 한다.
3일 오 시장이 취임 100일을 맞아 기자회견을 열었다. 그의 취임 후 정치환경이 많이 바뀌었다. 같은 당 이재명 대통령이 당선됐고, 대통령실에는 ‘아산 연고’를 지난 2명이 자리를 잡았다. 비서실장에 강훈식 전 의원(아산을), 또 최근 경청통합수석에 전성환씨가 임명됐다. 아산에서 오랫동안 시민사회단체 활동을 한 전씨가 시민사회와 국민과의 소통을 맡는 주요 직책을 맡은 것이다. 아산은 그에게 제2의 고향이다.
게다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민주당 간사에 복기왕 의원(아산갑, 전 아산시장)이 선임됐다. 국토교통부과 연관된 SOC사업에 긍정적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위치다. 오 시장 말대로 아산에는 두 번 다시 없을 “절호의 기회”가 찾아온 것이다. 아산은 곡교천 르네상스사업, 아트센터 건설, 외곽도로 건설 등 수천억원씩 들어가는 대규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호서대 부근 100만평에 건립하려는 전기차 자율주행시험센터도 탄력을 받을 수 있다.
오 시장은 “오늘은 이 대통령이 취임 30일, 저는 100일을 맞은 날”이라며 “아산이 민생경제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듯이 대통령도 민생경제 회복을 가장 중요시해 국정·시정이 평행선을 걷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아산의 주변 ‘정치환경’이 크게 달라졌음을 단적으로 느끼게 하는 수사(修辭)다.
제2경찰중앙학교 이전과 관련해 전북 남원시의 적극적 유치 노력이 도마에 올랐다. 오 시장이 달라진 정치환경을 거론하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아산은 1997년부터 경찰종합타운화를 염두에 두고 경찰교육기관 집적화가 이뤄진 곳이다. 투자 효율성과 교육생 편리성을 우선 생각해야 한다.” 이쪽 저쪽 나눠주기식이 돼, 교육수요자인 경찰공무원들을 불편하게 해서는 안된다는 얘기다. 그는 아산의 ‘좋아진’ 정치환경을 활용, 오는 9~10월 최종 유치 결정을 따올 각오다.
충남도가 최근 시·군을 돌며 실시하는 대전·충남 행정통합 설명회에 대한 아산시 입장을 묻는 질문이 나왔다. 오 시장은 “민감하고 복잡한 사안을 갖고 사전 의견수렴도 없이 막바로 시·군을 찾아다니고 있다”며 불쾌감을 내비쳤다. 그는 “무엇보다 행정통합을 하면 어떤 득(得)이 있는지 명확해야 한다”면서 “정치적 제스처로 보이는 측면이 있다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이와관련 천안·아산 통합문제에 대해 “두 도시가 통합돼 광역시가 될 수 있다면 OK”라고 했다. 대형시설 건설에 많은 국비를 딸 수 있는 득(得)이 확실하기 때문이다.
오 시장은 시장 취임 100일을 “독선과 불통으로 얼룩진 비정상을 정상화하는 일에 모든 행정역량을 투입했다”고 스스로 평가했다. 그는 민생경제 회복 정책, 탕정2고교 조기 개교 추진에 지역예술인을 우선하는 축제 방향 전환을 거론했다. 박경귀 전 시장이 외부 예술인들을 불러들여 진행했던 여러 행사들이 연속성을 갖기 어려울 전망이다.
향후 시정 방향도 제시했다. 기업 유치는 “50개 이상”으로 구체적 목표를 내놨다. 장애인·노인 복지 및 사회복지 종사자의 처우 개선을 특별히 강조했다. 미래산업과 관련해선, 자율주행·차량반도체 종합지원센터 착공과 차량반도체 관련한 국비 100억원 확보를 성과로 내세웠다. AI기반의 슬립테크(SleepTec)사업과 바이오·의료 종합지원사업 육성도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