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교육청은 경주시와 문경시가 교육부의 재평가를 통해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최종 지정됐다고 7일 밝혔다.
이로써 경북은 총 15개 시군이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지정받아 전국 최대 규모의 특구 운영 지자체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은 지자체와 교육청, 대학, 기업, 공공기관 등이 협력해 교육 혁신과 지역 인재 양성, 정주 생태계 조성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교육부의 핵심 국가균형발전 정책이다.
시범 운영 기간은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이다.
경주시는 역사 문화 자산과 미래차․원자력 등 첨단산업 기반을 융합한 정주형 미래 교육모델을 통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문경시는 마을교육공동체 기반의 돌봄 체계와 지역 정체성 중심 체험교육, 신산업 연계 인재 양성 계획을 담은 지역 밀착형 교육생태계 구축 모델을 제시한 점을 높이 샀다.
이번 재평가에 따라 경주시는 ‘선도지역’으로, 문경시는 ‘관리지역’ 각각 지정됐다.
‘선도 지역’은 3년간 매년 연차 평가를 통해 시범 지역 유지 여부를 결정하고, 3년차 평가를 통해 정식 지정을 받을 수 있다.
‘관리지역’은 3년간 시범 운영 후 종합 평가를 거쳐 정식 지정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경북의 선도지역은 기존 포항, 김천, 안동, 구미, 영주, 영천, 상주, 예천, 울진, 울릉 등 10개 지역과 함께 11곳으로 늘어났다.
관리지역은 기존 칠곡, 봉화, 경산에 문경이 추가돼 4곳 체계로 운영된다.
경북교육청은 타 지역과의 차별화된 특구 운영을 위해 지역 간 연계와 특화 산업을 결합한 ‘클러스터형 교육발전특구’ 모델을 구상하고 있다.
특히 울진·포항·울릉 등 해양 인접 지역의 특성을 활용한 협력 방안도 하나의 가능성으로 두고, 향후 구체적인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임종식 교육감은 “경주와 문경의 추가 지정으로 경북형 교육발전특구 모델이 더욱 견고해졌다”며 “지자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교육을 통한 지역 활성화와 정주 여건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