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관세 협상의 불확실성이 장기화되면서 자동차 관세 인하 시점도 여전히 안갯속이다. 25%의 고율 관세 부담이 지속되면서 부품 업체들이 잇따라 경영 한계에 내몰리고 있어, 정부의 지원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9일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에 따르면 100대 상장 자동차 부품사의 올해 2분기 합산 영업이익은 1조49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2% 감소했다. 특히 2차 이하 중소 협력사의 감소 폭이 두드러졌다. 2차 협력사의 영업이익 감소 폭(23.7%)은 1차 협력사(9.2%) 보다 두 배 이상 컸다.
자동차 부품 수출액도 급감했다. 올해 8월 대미 자동차 부품 수출액은 4억9337만달러(한화 약 7062억5915만원)로 전년 동기(6억589만달러, 약 8674억5271만원) 대비 1억1252만달러(약 1610억9488만원, 18.6%) 줄어들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관세 영향으로 완성차 수출이 위축되면서, 부품사들의 수익성도 동반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부품업계의 경우 완성차 수출 물량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만큼, 관세 등 외부 변수에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특히 부품사들은 해외 거래선이 제한적이라 관세 부담이 곧바로 수익성 악화로 이어지는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인건비 등 고정비 부담이 큰 상황에서 관세 부담까지 겹쳐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다”며 “폐업을 고민하는 업체들도 많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처럼 관세 부담이 장기화되면서 부품업계의 피해가 현실화되고 있지만, 한‧미 간 관세 협상은 여전히 교착 상태에 놓여 있다. 양국은 자동차를 비롯한 주요 품목 전반에 대한 관세 협상을 진행 중이나, 아직 합의안 초안 단계에도 이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한‧미 무역협상의 최대 쟁점인 3500억달러(약 500조원) 규모 대미 투자 패키지의 주요 내용에 대한 양국 간 입장 차는 좁혀지지 않는 분위기다. 한국은 외환시장 안정 등을 이유로 ‘현금 투자 규모 최소화’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미국은 ‘대규모 현금 투자’를 요구하며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협상이 장기화로 이어질 경우 부품 업체의 도산 우려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경진 한국자동차부품협회 정책연구소장은 “관세 영향에 따른 부품 업계의 피해가 커지면서 생태계 전반으로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라며 “부품업계의 피해는 곧 자동차 산업 전반에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관세 협상이 타결되더라도 15%의 관세는 부품 업체들에겐 여전히 부담으로 작용한다”며 “특히 2‧3‧4차 협력사들의 피해가 심각한 만큼, 정부의 맞춤형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문학훈 오산대학교 미래전기자동차과 교수도 “관세 협상이 장기화될 경우 업계의 피해는 더 커질 것”이라며 “부품 업체들은 관세 부담을 안고 갈 여력이 없어 도산 우려가 크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정부가 부품 업체, 그 중에서도 중소 부품사들의 현재 피해 현황을 면밀히 파악해 세제나 금융 등 비용 측면에서의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