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문체위) 국정감사에서 김건희 여사의 국가유산 사적 유용 논란과 관련한 질타가 이어졌다. 김 여사가 경복궁 근정전 어좌에 앉는 모습을 봤다는 증언도 추가로 등장했다.
이기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9일 국회에서 열린 문체위 종합감사에서 “역대 영부인들은 조선 왕실의 유산이 보관된 국립고궁박물관 수장고에 출입한 적이 없다”면서 “심지어 김 여사가 방문했던 날 방문 기록조차 누락돼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수장고에 일반인이 출입하기 위해서는 열람 신청서를 미리 작성하고 관장의 승인을 사전에 받아야 한다”며 “김 여사는 사전 승인 절차를 무시하고 수장고의 문을 열었다”고 덧붙였다.
양문석 민주당 의원은 지난 2023년 2월 김 여사가 창덕궁을 방문했을 당시 구두를 신고 인정전 어좌에 앉았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양 의원은 “고궁 해설사가 김 여사의 방문 당시 해설 일지에 ‘VIP’라고 적었다”며 “VIP는 대통령에게만 쓰는 표현이다. 김 여사가 대통령이냐”라고 비판했다.
임오경 민주당 의원도 “국가유물 사적 유용을 위해 대통령실이 개방을 요구한 것은 명백한 직권남용에 해당한다”면서 “김 여사뿐만 아니라 당시 함께한 관련자들에게도 중징계가 내려져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 과정에서 김 여사가 경복궁 근정전 어좌에 앉은 모습을 봤다는 증언도 나왔다. 김 여사 방문 당시 경복궁 관리소장을 맡은 고정주 국가유산청 법무과장은, 김 여사가 근정전 어좌에 앉는 모습을 봤냐는 임 의원에 질의에 “앉는 것을 봤다”고 답했다.
이어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의 연락을 받아 김 여사를 수행했다”며 “김 여사가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의 손을 잡은 채 근정전에 들어갔다. 그곳에서 10분 정도 내부를 관람하고 경회루 쪽으로 이동했다”고 설명했다.
그러자 김교흥 문체위원장은 허민 국가유산청장을 향해 국민들에 대한 사과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허 청장은 김 여사의 사적유용 논란이 발생한 이후인 지난 7월 이재명 정부에 의해 임명됐다.
김 위원장은 “김 여사의 사적 유용과 관련해 ‘조사하고 있다’는 답변 대신, 국가유산청이 TF(태스크포스)라도 꾸려서 철저하게 진상을 규명할 생각이 없냐”고 지적했다. 이에 허 청장은 “국민 누구도 이해할 수 없는 사적 행위고 어느 누구도 해서는 안 될 특혜 사유”라고 말했다.
그는 “사적 유용으로 많은 국민들이 분노한 것에 대해 국가유산 보존 및 관리의 책임자로서 송구스럽다”며 “사안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다. 김건희 특검과는 별도로 국가유산청의 법무감사팀을 보강해 적극적으로 진상을 밝히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번 일을 교훈 삼아 앞으로 국가유산을 더욱 철저히 관리하고 관련 규정을 엄격하게 만들겠다”면서 “절차에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