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치료 시대, 윤리도 진료 기준이 된다”…‘신경윤리’ 첫 종합 정리

“뇌 치료 시대, 윤리도 진료 기준이 된다”…‘신경윤리’ 첫 종합 정리

기사승인 2025-11-05 17:38:32
대한신경과학회(KNA)는 최근 공식 학술지인 ‘대한신경과학회지(JKNA)’ 최신호에 ‘신경과 의사를 위한 신경윤리’라는 제목의 종설 논문을 게재했다. 해당 논문은 이상범 학회 홍보이사(서울신내의원, 사진)와 김대훈 대한노인신경의학회 완화의료특별위원장(송도효자병원)이 저자로 참여했다. 대한신경과학회 제공

대한신경과학회(KNA)는 공식 학술지인 ‘대한신경과학회지(JKNA)’ 최신호에 ‘신경과 의사를 위한 신경윤리’라는 제목의 종설 논문을 게재했다고 5일 전했다.

이상범 학회 홍보이사(서울신내의원)와 김대훈 대한노인신경의학회 완화의료특별위원장(송도효자병원)이 저자로 참여한 해당 논문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뇌심부자극술(DBS), 경두개자기자극술(TMS) 등 뇌 조절 기술이 치료 영역을 확장시켰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성격 변화, 의식 상태, 자율성 판단 등 기존 윤리 체계로 해석하기 어려운 문제를 빠르게 증가시키고 있다고 짚었다. 

특히 뇌 질환은 기억, 성격, 정체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신경과 의사는 의학적 치료뿐 아니라 자아와 존엄성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논문은 임상에서 실제로 마주하게 되는 대표적 신경윤리 사례를 제시했다. △DBS 시술 이후 환자의 성격이 바뀐 경우 ‘같은 사람’으로 볼 수 있는가 △연구 목적 MRI에서 우연히 발견된 병변(우연종)을 어디까지 알려야 하는가 △질병이 없는 사람이 두뇌 능력 향상을 위해 약물 처방을 요구할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등이 포함됐다.

뇌 기능을 바라보는 관점이 기존 ‘국소론’에서 ‘연결론’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전했다. 특정 기능이 특정 부위에 존재한다고 보는 접근을 넘어, 여러 신경 회로의 상호작용이 ‘자아’와 ‘의식’을 형성한다는 연결 기반 이해가 점차 임상적 판단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디폴트모드네트워크(DMN) 연구는 이러한 변화를 대표하는 사례로 언급됐다.

저자들은 “신경윤리는 철학적 사유가 아니라 임상 판단의 실질적 기준이 돼야 한다”며 “대한신경과학회 차원에서 한국 의료 현실에 맞는 가이드라인 제정과 교육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찬종 기자
hustlelee@kukinew.com
이찬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