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하 생명연) 희귀난치질환연구센터 이다용 박사팀은 초미세플라스틱이 모유로 다음 세대에 전이돼 자손의 비정상적 체중 증가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8일 밝혔다.
(앞)제1저자 정보현 박사, (뒤 왼쪽부터)연구책임자 이다용 박사, 교신저자 화학연 조성희 박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번 연구는 향후 소아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새로운 차원의 접근 방안과 더불어 미세플라스틱 오염 해결정책 마련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할 기초자료가 될 전망이다.
5㎜ 이하 미세플라스틱은 하수처리과정에서 걸러지지 않고 그대로 강과 바다로 흘러들어 여러 환경문제에 악역항을 끼친다.
초미세플라스틱은 미세플라스틱이 쪼개져서 형성되는 입자로 크기 1㎛(100만분의 1m) 이하로 매우 작아 관찰과 검출이 극히 어렵다.
이런 초미세플라스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환경과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대를 이어 자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드물었다.
연구팀은 쥐 모델로 초미세플라스틱이 모유 성분에 변화를 유발, 이를 섭취한 자손은 지질대사체 이상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변화가 일어나 비정상적 과체중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