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7일 (월)
세계 최고효율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기술 개발

세계 최고효율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기술 개발

화학연-유니테스트 태양전지 셀 효율 20.6% 기록
유리형 창호, 차량 파노라믹 솔라루프 등에 적용 양산

기사승인 2024-05-22 13:44:27
한국화학연구원(이하 화학연)이 개발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대면적 셀 효율이 기존 중국이 보유한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화학연은 ㈜유니테스트와 공동으로 세계 최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대면적(200㎠) 셀 생산기술을 공동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세계 최고 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대면적 셀 기술을 개발한 한국화학연구원 에너지소재연구센터 연구팀. 한국화학연구원
이재형 기자
jh@kukinews.com

이번에 개발한 태양전지 셀 효율은 20.6%로 기존 기록은 중국의 19.2%였다.

이에 따라 화학연과 ㈜유니테스트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로 본격 추진, 창호용 제품과 기능성 응용품 등의 양산 준비에 나섰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기판에 용액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쉽고 저렴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어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대면적 셀의 이론적 한계효율은 현실적 손실 경로를 고려할 경우 27% 수준이지만,  아직까지 20%를 넘는 기술은 없었다. 

효율을 높이려면 소재 최적화, 코팅 균일화, 레이저공정 최적화가 필요하지만, 대면적 소자의 다양한 요소를 최적화하는 과정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다중접합 태양전지 개발도 고성능 소재 발굴과 더불어 대면적 균일 코팅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때문에 단일접합 태양전지 대면적 셀 고성능화는 다중접합 태양전지의 성능도 올릴 수 있는 핵심 기술이다.

이번 연구에서 화학연은 자체 소재합성 최적화와 코팅 균일화, 레이저 파워 최적화로 중국이 가진 대면적 인증효율 넘어서며 국제 공인을 획득했다.

이를 바탕으로 화학연은 대면적 셀 옥외 실증테스트를 진행하며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진행하는 등 기업 상용화에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유니테스트 태양전지 셀 생산설비. 한국화학연구원

아울러 ㈜유니테스트는 이번 개발 기술을 토대로 유리창호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사업화는 물론 반투명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차량 파노라믹 솔라루프에 장착하는 등 올해 중 양산을 목표로 설비를 구축 중이다.

대덕특구=이재형 기자 jh@kukinews.com
이재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봉준호 ‘미키17’, 개봉 한 달 만에 美극장서 내린다…7일부터 스트리밍 서비스

봉준호 감독의 할리우드 영화 ‘미키 17’ 극장 개봉 한 달 만에 손실을 안은 채 상영을 종료하고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가게 됐다.6일(현지시간) 미국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의 신작 목록에 따르면 '미키 17'은 오는 7일 오후 9시(미 서부시간)에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공개될 예정이다.미 경제매체 포브스에 따르면 미키 17은 애플TV와 판당고 등 다른 여러 스트리밍 플랫폼에서도 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이 영화는 극장 상영을 마무리하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