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5일 (토)
서울아산병원, 수술 힘든 희귀 뇌종양 ‘감마나이프 수술’ 효과 입증

서울아산병원, 수술 힘든 희귀 뇌종양 ‘감마나이프 수술’ 효과 입증

기사승인 2024-11-04 14:04:16
서울아산병원 김영훈 신경외과 교수가 하부 뇌 신경초종 환자에게 감마나이프 수술 전 치료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

하부 뇌 신경초종으로 감마나이프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종양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은 김영훈 신경외과 교수팀이 지난 1994년 2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하부 뇌 신경초종으로 서울아산병원에서 감마나이프 수술을 받은 환자 60명을 평균 52.8개월 간 추적 관찰한 결과, 약 92%(55명)에서 종양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흔히 ‘무혈 수술법’이라고도 불리는 감마나이프 수술은 뇌종양, 뇌혈관 기형 등 뇌질환을 머리 절개 없이 고에너지 감마선을 집중적으로 조사해 치료하는 방법이다. 병변 특성이나 환자 상태에 따라 수술이 어려운 경우 감마나이프 수술법이 활용된다. 

뇌 하부에 생긴 뇌종양인 ‘하부 뇌 신경초종’ 치료에도 감마나이프 수술이 시행되고 있지만, 뇌종양 중에서도 발생률이 낮다보니 치료 효과에 대한 장기 분석 연구 결과가 부족했다. 하부 뇌 신경초종은 두개골 하부에 위치하면서 삼킴, 발음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뇌신경에서 발생하는 양성 종양이다. 중증 삼킴 곤란, 언어 장애, 운동 능력 실조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연구팀이 추적 관찰을 진행한 대상자는 하부 뇌 신경초종 환자 60명 가운데 경정맥공 신경초종 환자 47명, 설하신경 신경초종 환자 13명이었다. 세부적 질환별로 종양 억제 효과를 보인 비율은 각각 약 91.5%(47명 중 43명), 92.3%(13명 중 12명)였다. 전체 하부 뇌 신경초종 환자 60명의 감마나이프 수술 후 무질병 1년, 2년, 3년 생존율은 각각 96.5%, 91.5%, 89.0%였다.

평균 53개월 동안 이뤄진 추적 관찰 후엔 중증 삼킴 곤란, 운동력 실조, 청각 장애, 안면 마비 등 하부 뇌 신경초종 치료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 여부도 확인했다. 환자 60명 중 30명은 호전됐고 20명은 안정 상태였으며, 7명은 일시적으로 악화됐지만 큰 문제없이 회복됐다. 3명만이 신경학적 증상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훈 서울아산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뇌종양 중에서도 발생률이 낮아 장기 치료 연구 결과가 없던 하부 뇌 신경초종 치료에서도 수술이 어려운 경우 감마나이프 수술이 시행돼 왔지만 연구 결과를 통해 장기적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신경외과 분야에서 가장 유망한 국제학술지인 ‘저널 오브 뉴로서저리(Journal of Neurosurgery, IF=3.5)’에 최근 게재됐다.

김은빈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대한민국 만세” 파면 축하 콘서트 개최

윤석열 대통령 파면이 결정된 4일 저녁 7시부터 촛불승리전환행동(촛불행동)이 시청역 앞 대로에서 ‘파면 축하 콘서트’를 열었다.전날 밤부터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파면 콘서트로 철야 농성을 벌인 촛불행동은 이날 밤 축제 분위기 속에서 파면 축하 행사를 진행했다. 행사는 양회동 열사의 아내 김선희 씨의 회고사에 이어 박은정, 김용민 국회의원의 축사, 문진오 밴드, 성국 가수, 안치환 밴드, 김미화와 호세윤 밴드 공연, 시국미사의 순으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