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쎄트렉아이가 내달 발사 예정인 초고해상도 지구관측위성 ‘SpaceEye-T’의 지상국 시스템을 아마존웹서비스(AWS)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해 성공적으로 구축했다고 25일 밝혔다.
SpaceEye-T는 상용위성 중 최고 수준인 해상도 25㎝급 관측위성으로, 관측폭 12㎞와 높은 기동성을 바탕으로 국가안보, 재난재해, 지도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지구관측위성의 지상국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위성운영, 영상 촬영, 데이터 다운로드 및 처리를 수행한다.
이에 쎄트렉아이는 세계적 흐름에 맞춰 클라우드 기반 지상국 시스템을 도입, 영상데이터 처리량에 따라 서버 자원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됐다.
특히 AWS 클라우드를 활용해 대량의 위성 영상데이터를 더욱 신속하게 처리하고, 데이터 백업 및 복구시스템을 구축해 안정성을 강화했다.

SpaceEye-T는 내달 중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스페이스엑스가 제작한 팔콘9에 실려 우주로 향한다.
이을 ㈜쎄트렉아이 대표는 "AWS 클라우드 기반 지상국 시스템으로 위성운영 유연성과 안정성을 확보했다”며 “이를 통해 글로벌 영상서비스인프라 구축과 더불어 신속하고 안정적인 영상제공 역량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쎄트렉아이는 우리나라 최초 인공위성인 우리별1호를 개발한 핵심 인력이 1999년 설립, 지금까지 40개 이상의 국내외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전략적 협업을 수행 중인 대표 위성개발 기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