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동상륙훈련은 상륙작전 계획수립 단계부터 병력 및 장비 함정 탑재, 작전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실제 연습, 함정의 작전구역 이동, 상륙목표 도달, 임무 달성이 이뤄지는 최종단계인 결정적 행동에 이르기까지 고도의 팀워크와 합동성이 요구되는 훈련이다.
이번 훈련에는 대형수송함 마라도함(LPH·1만4500톤급) 및 상륙함(LST-I/II·2600/4900톤급) 등 해군 함정 17척, 해상초계기(P-3), 해상기동헬기(UH-60) 및 마린온 상륙기동헬기(MUH-1), 공군 전투기(KF-16) 등 항공기 19대,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KAAV) 22대, 민간 동원선박 8척 등이 참가하고 있다. 또한 육·해·공군·해병대 병력 3200여 명 등 합동전력이 투입됐다.
해군·해병대는 이번 훈련에서 처음으로 적 자폭형 무인기에 대응하기 위해 소형 대공 표적기를 향한 대공 실사격훈련을 실시한다. 무인기를 활용한 실시간 상륙해안 정찰 및 육상 표적 식별 훈련도 처음 시행한다.
합동상륙훈련 지휘관인 해군 5기뢰상륙전단장 강명길 준장(진)은 “이번 훈련을 통해 합동상륙작전 수행절차를 숙달하고 합동자산 운용을 통한 합동성을 강화할 수 있다”며 “해군·해병대가 원팀(One-Team)이 돼 압도적인 힘을 바탕으로 주어진 임무를 완수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