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가 폐기물 소각시설을 둘러싼 지역사회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나섰다.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는 5일 김호은 전북지방환경청장과 면담을 갖고 완주군 봉동읍 폐기물 소각시설 설치에 대해 주민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신중한 검토를 요청했다.
전북지방환경청은 지정폐기물처리시설 설치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및 인허가 권한을 갖고 있다.
이날 김 지사는 해당 시설이 삼봉지구와 둔산지구 등 주거 밀집지역에 인접해 지역 주민들의 건강과 환경오염 문제를 제기했다.
또한 지역에서 입지 적절성과 설치 필요성 부족 등을 이유로 반대가 지속되는 만큼, 주민 수용성을 먼저 확보한 뒤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도 밝혔다.
아울러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검토 과정에서 철저한 검증과 투명한 절차 이행에 협조를 구했다.
김 지사가 우려를 표명한 폐기물 소각시설은 완주군 봉동읍 구암리에 하루 189.6톤 규모의 폐기물 소각시설을 건립하는 사업으로, 연간 처리계획량이 완주군 관내 폐기물 발생량보다 많아 외부 폐기물 대량 반입 등 주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지역민들은 지난해 6월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이 전북환경청과 완주군에 접수된 후 강력한 반대 의사를 표명해왔다. 특히 주거지와 공원묘지 등이 근거리에 위치한 입지의 부적절성과 관내 폐기물 발생량을 초과하는 폐기물처리시설 건립 필요성 부재 등을 들어 폐기물 소각시설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완주군도 관내 사업장 발생 일반 및 지정폐기물량이 사업체 계획량의 14%에 그치고, 인근 전주·익산 소각시설에서 충분한 처리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에 김호은 청장은 “지역 환경현안 해결을 위해 도와 시·군 등 유관기관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하겠다”고 답했다.
김관영 도지사는 “도민의 어려움을 늘 가까이서 청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모든 도정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도민 의견이 도정에 충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