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의 미국 방문이 양국 기업 간 제조업 동맹 강화라는 실질적 성과로 이어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행사에서 김정관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이 임석한 가운데 양국 기업들이 조선, 원자력, 항공, LNG, 핵심 광물 등 분야에서 총 11건의 계약과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기업들은 공동 펀드 조성, 대규모 투자, 기술 협력을 망라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며 정상외교의 외교적 의제를 산업 차원의 성과로 구체화했다.
원자력 분야에선 두산에너빌리티가 미국의 아마존웹서비스(AWS), 원전 전문기업 엑스-에너지(X-energy),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손잡고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엑스에너지는 뉴스케일, 테라파워와 더불어 미국의 3대 SMR 개발사로 꼽힌다.
이들은 SMR 핵심 설계·건설·운영·공급망·투자·시장 확대 등 전 과정을 함께하게 된다. 특히 AWS가 약 7억달러를 투자하는 5GW 규모의 SMR 상용화에 심층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향후 AWS의 AI 데이터센터 등에 전력 인프라를 공급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이어 페르미 아메리카(Fermi America)와도 대형 원전·SMR 협약을 맺고, 'AI 캠퍼스 프로젝트' 전력 인프라 구축에도 합류했다.
조선 부문에서는 HD현대가 미국 서버러스 캐피탈(Cerberus Capital), 한국산업은행과 함께 수십억 달러 규모의 '한미 조선산업 공동 투자 프로그램'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동맹은 미국 내 조선소 인수·현대화, 해양 물류 인프라 강화, 첨단 기술 개발 등 MASGA 프로젝트의 실질적 추진력을 부여하는 첫 성과라는 평가다.
HD현대는 필리핀 수빅 조선소를 보유한 서버러스와의 양해 각서 체결을 시작으로 건조, 기술 지원, 인력 양성 등 미국과의 조선업 협력을 앞으로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중공업도 미국 시장 진출 발판을 마련했다. 미국 워싱턴 DC에서 세계적 MRO(유지·보수·정비) 전문 조선사 비거 마린 그룹(Vigor Marine Group)과 전략적 협력 MOU를 체결했다.
삼성중공업은 이번 협약을 통해 첨단 기술력과 최적화 설비를 앞세워 미국 해군 및 상선시장에 대한 진출의 기회를 확보했다. 향후 미국 내 공동 건조 및 미국 해군력 강화 프로젝트에도 적극적으로 나서 글로벌 시장에서 조선업 재편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이다.
산업부는 “세계 최고 수준의 우리 조선사들이 미국 조선업 및 해양 역량 강화와 미국 군함의 유지·보수·정비 사업 등에 적극 참여하게 돼 한미 양국이 윈윈할 수 있는 조선 협력 모멘텀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