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는 난리, 지금은 조용…마포·성동구 부동산 온도차

그때는 난리, 지금은 조용…마포·성동구 부동산 온도차

기사승인 2025-10-18 06:00:06
서울 마포구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아파트 전경. 이유림 기자

“전화기가 불이 날 정도였죠. ‘10·15 부동산 대책’ 적용 전에 집을 사고 싶다고 문의가 쏟아졌습니다. 지금은 매수하겠다는 전화가 거의 없어요” (서울 마포구 공인중개사 A씨)

정부가 서울 전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거래가 활발했던 마포·성동구 부동산 시장이 조용해졌다. 이미 토허구역으로 지정된 용산구 역시 한산한 모습을 보였다.

18일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에 따르면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이 토허구역으로 지정된다. 기존 토허구역으로 지정됐던 강남3구(강남·송파·서초구)와 용산구는 규제가 유지된다.

아울러 고가 주택 매수를 막기 위한 강력한 대출 규제도 시행된다. 이번 규제는 주택 시세에 따라 차등 적용되는데 시가 15억원 이하 주택은 기존과 같이 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유지되지만, 15억원 초과 25억원 이하 주택은 4억원으로 줄어든다. 시가 25억원을 초과하는 고가 주택은 대출 한도가 2억원으로 축소된다.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대책으로 인해 뜨거웠던 마포구 부동산 시장은 차갑게 식은 분위기다. 마포구 공인중개사 B씨는 “마포구를 토허구역으로 지정한다는 소문이 계속 돌지 않았느냐”며 “그때는 매수 문의가 쏟아졌는데 대출 규제가 적용된 지금은 매우 한산하다. 매수 문의 전화도 80% 이상은 줄었다”고 말했다.

실제 규제 발표 직전인 14일과 발표날인 15일, 마포구 아파트 거래는 활발한 모습을 보였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14일 마포구 아파트 매매 거래는 13건, 15일 16건 이뤄졌다. 10월 들어 17일까지 누적 거래량은 총 133건으로 이틀간 거래가 전체의 약 22%를 차지한다. 신고가 거래도 이어졌다. ‘마포포레스티지자이’ 전용면적 59㎡는 지난 15일 24억원에 거래됐다. 16일과 17일, 마포구에서는 아파트 매매 거래가 이뤄지지 않았다.

성동구 부동산 시장도 한때 활발했다가 점차 조용해지는 분위기다. 10월 들어 17일까지 성동구 아파트 매매는 총 118건으로 집계됐으며 이 가운데 14일에는 12건, 15일에는 19건이 거래됐다. 하지만 16일과 17일에는 거래가 한 건도 없었다.

성동구 공인중개사 C씨는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이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다는 불안감 때문에 일부 매도자들이 상황을 지켜보겠다며 매물을 거둬들이기도 했다”고 전했다.

서울 용산구 용산e편한세상 아파트 전경. 이유림 기자

토허구역 계속된 용산, 시장 반응 조용

용산구는 이미 토허구역으로 지정돼 있었던 터라 부동산 시장은 비교적 한산한 모습을 보였다. 서울시는 지난달 17일,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의 아파트 용도 부지에 대한 토허구역 지정을 연장했다. 해당 규제는 내년 12월31일까지 유지된다.

용산구 공인중개사 D씨는 “용산구는 이미 토허구역이었던 터라 이번 조치로 인한 영향은 거의 없었다”며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전이나 후나 시장 분위기가 비슷하다”고 말했다. 용산구 공인중개사 E씨 역시 “용산 일대는 이번 대책 영향을 받지 않았다”며 “강남3구 역시 용산구와 비슷한 분위기일 것”이라고 전했다.

전문가는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의 거래 절벽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진단했다. 서진형 광운대 부동산법무학과 교수(한국부동산경영학회장)는 “마용성은 아파트 가격이 비싸 구매 가능한 사람이 많지 않다”며 “게다가 강력한 대출 규제로 거래 절벽이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유림 기자
reason@kukinews.com
이유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