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수소, 정부 조직재편 관계없이 모든 부처 힘 합쳐 서둘러야” [2025 국감]

“그린수소, 정부 조직재편 관계없이 모든 부처 힘 합쳐 서둘러야” [2025 국감]

기사승인 2025-10-20 16:46:47
20일 강원 정선군 강원랜드에서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가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국가 수소산업과 관련한 조직이 산업통상부에서 기후에너지환경부로 이관된 가운데, 그린수소 전환 달성을 위해선 조직재편과 무관하게 모든 에너지 부처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0일 강원 정선군 강원랜드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종민 무소속 의원은 한국가스공사, 한국석유공사 등 에너지 공공기관 감사와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수소 관련 산업을 담당하는 부서가 기후에너지환경부로 이관이 됐는데, 가스공사는 수소 공급 인프라 역할을 맡고 있고, 석유공사는 청정 암모니아 공급망 및 도입과 관련한 업무를 하고 있다”며 “이렇게 되면 가스공사나 석유공사의 수소 관련 업무는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협의를 해야 하는 것이냐”고 물었다.

이에 최연혜 가스공사 사장은 “수소경제국이 이관된 상황이지만, 아직 관계가 어떻게 설정될지는 명확히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그린수소 전환에 시간이 없다며, 대표적인 예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사업 관련 전력 조달 문제를 꼽았다.

그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경우 3GW(기가와트)를 액화천연가스(LNG)로 공급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는데, 기본적으로 LNG가 그린에너지가 아니기 때문에 RE100 달성에 대한 고민을 안게 된다”며 “이를 정부가 2032년까지 LNG-수소 50% 혼소 계획으로 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단계적으로 2032년까지 50% 혼소, 2050년까지 100% 수소로 전력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는데, 이 과정에서 수소를 조달하는 것도 문제지만 이를 공급하려면 혼소 배관이 필요한데 이것이 가능하냐”라며 “혼소 배관 기술조차 아직 확보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계획부터 먼저 내세우는 것 아닌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에 최 사장은 “현재 20% 혼소가 상용화돼 있으며, (배관 기술 관련) 테스트베드를 진행하고 있다”고 답했다.

당장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부분적으로 2027년 1기 팹 절반 가동, 2032년까지 최종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용화를 위한 현재 보유 기술력 대비 정부의 계획이 다소 무리한 것이 아니냐는 게 김 의원 질의의 골자다.

김 의원은 “기술 준비가 덜 돼 있는 수소 혼소보다, 차라리 암모니아를 평택항으로 운반 받아 이 곳에 수소연료전지 발전을 가동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며 “항구가 있는 새만금에서도 이를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실현 가능하다”고 제안했다.

또, 김 의원은 석유공사에 대해 “해외 주요국의 그린암모니아 확보 전략이 매우 치열한 상황인데, 한국은 한 곳만 확보했다”며 “물론 그 한 곳의 규모가 커 용량의 문제는 없겠지만, 다변화 등을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김동섭 석유공사 사장은 “말레이시아 등과 추가적으로 암모니아 관련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아직은 단가가 높은 상황이라 경제성을 확보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최연혜 사장 역시 “수소사업에 대한 법규나 제도 등 필수적인 요소들을 주도해서 만들어가고 있으며, 새 정부의 초혁신경제 15대 선도 프로젝트 중 그린수소 프로젝트 추진단에 가스공사가 참여해 전방위적으로 논의 및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정부의 조직재편과 관계없이 기후에너지환경부와 가스공사, 석유공사 등이 수소산업 발전 가속을 위해 적극적으로 협의를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재민 기자
jaemin@kukinews.com
김재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