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만에 열린 충남도에 대한 국정감사가 지사의 답변 태도를 문제 삼으며 개최 30분만에 정회 소동을 빚는 등 정쟁만 남기고 막을 내렸다.
27일 충남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충남의 굵직한 사업 대한 점검과 지적보다 특정 언론사 광고비 집행 중단과 해외출장, 전희경 충남연구원장 임명에 집중했으며, 김 지사는 이에 강하게 반발하면서 국정감사 내내 날 선 분위기가 이어졌다.
이날 행안위 의원들 중 민주당 의원들은 특정 언론사 광고 집행 중단에 대한 지적과 김태흠 지사의 국감 태도에 대한 지적에 집중했다.
질의에 나선 한병도(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7월 충남 폭우 때 도민이 체육관과 마을회관으로 긴급 대피하고 자원봉사 지원이 이어질 때 지사는 출국했다”며 김 지사의 대응 태도를 문제 삼았다.
이에 김 지사는 출장 전 현장 점검과 복구 계획 수립을 언급하며 “불가피한 출장”이라고 주장하면서 “전쟁때도 갈 일이 있으면 가야한다”고 강한 어조로 반박했다.
이 과정에서 고성이 오가자 신정훈 위원장은 김 지사의 국감 태도에 대해 지적하고, 양측의 고성이 이어지자 결국 정회를 선포했다.
이후 재개됐지만 민주당 의원들은 도정 질의보단 김 지사의 태도와 특정 언론사 광고비 집행 중단 문제를 물고 늘어졌다.
박정현(민주당) 의원은 "도지사 태도가 맘에 안 든다"라며 "또 언론 홍보비는 도지사 뒷주머니에서 나오는 것이 아닌 도민들의 세금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냐. 홍보비를 안주겠다고 하는 게 말이 되냐"라고 말했다.
이해식 의원의 “지사의 기준 허용치에 따라 광고를 주고 중단하느냐”는 질의엔 “나는 언론 프렌들리”라고 짤막하게 맞받아쳤다.
특히 신 위원장의 “법 위반이라도 언론활동 보장은 지켜져야 한다”는 발언에는 “불순한 의도가 있다”고 맞섰다.
12.3 계엄 이후 김 지사의 대응도 대립했다.
정춘생 의원(조국혁신당)은 "12.3 비상계엄은 내란이냐"라고 묻자 김 지사는 "비상계엄 당일 반대 했지만 탄핵은 아직도 의문이다"라고 답했다.
오후 국정감사에서는 전희경 충남연구원장의 임명에 대해서도 적절성을 놓고 고성이 오갔다.
정춘생(조국혁신당) 의원이 "논문 표절률 79%로 석사 학위를 반납한 연구 부정이 있던 사람을 어떻게 연구원장으로 임명할 수 있느냐“는 지적에 전 원장은 "도덕성 지적은 동의하기 어렵다. 연구 충실성 부분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어 학위를 자진 반납했던 것이고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해명하고, 김 지사도 “전 원장 임명 문제는 충남도의회에서 다룰 사안”이라고 일축했다.
한편 김 지사는 "답변 과정에서 다소 언성이 높았던 부분은 의원들께 유감을 표한다"면서도 "다만 지방자치단체 입장에서는 국비가 포함된 사안만 국감 대상이라고 생각한다"며 기존 입장을 이어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