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남구 대연동 유엔기념공원 일대 개발 규제 완화 관련 논의가 본격화하면서 도시 기능과 주거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시는 최근 부산에서 열린 재한 유엔기념공원 국제관리위원회 정기 총회에서 '유엔기념공원 주변 경관지구 관리 방안'에 대한 조건부 동의를 끌어냈다고 27일 밝혔다.
회의에는 부산시, 유엔기념공원 관리처 관계자, 국제관리위원회 소속 11개국 대사 등 대표들이 참석했다. 이날 성희엽 부산시 미래혁신부시장이 현장 투어와 제안 설명을 진행했다.
총회에서 일부 위원은 규제 완화 이후 개발로 인해 유엔기념공원의 경건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통해 건축물의 높이·규모·용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며 설득했다.
시는 경관지구 해제 이후 지형 여건에 따라 두 개 구역으로 나눠 건축물 높이를 제한하고 경관 변화에 따른 경건성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건축물 용도와 외관을 제한하기로 했으며 상세 계획 수립 단계에서 국제관리위원회와 지속해서 합의할 것을 조건으로 동의를 얻었다.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유일의 유엔 공식 묘지로, 한국전쟁 당시 전사한 유엔군 장병이 안장된 세계적 성지다. 현재 14개국(국제관리위원회 회원국 11개국, 비회원국 3개국) 2333명의 전사자가 안장돼 있다.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평화와 인류의 희생을 기억하는 공간으로서 국제적 상징성과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1951년부터 조성된 이 묘지는 대한민국이 유엔에 영구 기증했으며 유엔총회 결의에 따라 재한유엔기념공원국제관리위원회가 관리하고 있다.
1959년 체결된 대한민국과 유엔 간 협약에 따라 농업·주거 등 묘지의 존엄성을 훼손하지 않는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으며, 1971년부터 지정된 경관지구는 오늘날까지 유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관지구 변경이나 완화를 위해서는 국제관리위원회의 합의가 필요하다.
시는 2021년부터 유엔기념공원 주변 지역의 정비와 경관지구 조정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국제관리위원회에 전달하고 협조를 요청했다.
시는 이번 합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엔기념공원의 존엄성과 상징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도시 기능 회복과 주거환경 개선을 병행하는 합리적인 도시관리계획 조정안을 마련한다 계획이다.
남구청은 내년 상반기 도시관리계획 입안을 위한 용역에 착수하고 하반기부터 시에서 도시관리계획 결정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시는 이번 성과가 내년 세계유산위원회 제50차 총회 부산 개최를 앞두고 유엔기념공원 일대 정비와 주변 도시환경 개선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