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서 송환한 범죄 조직원 45명 전원 구속 송치

캄보디아서 송환한 범죄 조직원 45명 전원 구속 송치

충남경찰청, 로맨스 스캠 등 확인된 피해만 110건 93억원 달해

기사승인 2025-10-28 13:40:20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악용한 로맨스 스캠, 노쇼, 검찰 사칭 등 다양한 사기 수법들.

충남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캄보디아에서 이른바 '로맨스 스캠' 범행을 하다 국내 송환된 범죄 피의자 등 59명에 대해 수사를 진행, 45명을 구속하고 전원 검찰에 송치했다고 28일 밝혔다. 

충남경찰청은 28일 청 내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피의자 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해 8월쯤부터 지난달까지 캄보디아에 머무르면서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로맨스 스캠 범행을 저지른 혐의를 받고 있다.

조사결과 이들은 지난해 중순부터 올 7월경까지 프놈펜 웬치 (범죄단지) 및 태국 방콕 등지에서 로맨스스캠, 리딩방, 전화금융사기, 노쇼 사기 범행 등 수법으로 확인된 피해는 총 110건, 93억여 원에 이른다.

경찰은 또 이들이 “부건 총책 조직으로 부르며, 총책을 정점으로 한 지휘‧통솔 체계를 갖추고 있었다”면서 “조직 운영을 총괄하는 총책들과 이들이 부여하는 직책에 따라 조직원들 사이의 위계가 정해지고, 조직의 의사 및 업무 방침은 실장, 팀장, 팀원으로 전달되는 통솔체계를 갖추고 있었다”고 밝혔다.

또 DB관리, 입출금관리, 아이패드 수리 등의 물품관리, 가짜명함 제작등을 지원하고 관리하는 CS팀과 광고를 보고 접근한 피해자를 기망하는 로맨스팀, 검찰사칭 보이스피싱팀, 코인투자리딩 사기팀, 공무원 사칭 노쇼 사기팀 총 5개팀으로 역할을 분담하는 조직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총책이 마련한 건물에서 2인 1조로 합숙하였는데, 캄보디아 프놈펜 상캇에 소재한 건물에서 코인투자리딩 사기 사무실과 공무원 사칭 납품 사기 사무실을 마련하여 6월까지 범행을 계속하다가 단속을 피해 캄보디아 프놈펜 삼라옹에 있는 게스트하우스에서 범행을 계속하던 중 현지 당국에 체포되었다.

이들의 범행 수법은 로맨스 스캠을 비롯해 검찰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코인 투자리딩 사기, 노쇼 사기 등 다양한 형태로 드러났다. 

로맨스 스캠은 지난해 후반부터 캄보디아 프놈펜에 거점을 두고 불특정 다수인들에게 페이스북을 통해 조건 만남 업체 매니저와 실장을 사칭한 후 피해자에게 가입비·인증비를 입금토록 유인하여 이에 속은 피해자(23명)로부터 1인당 적게는 수십만원에서 많게는 10억여원까지, 총 26억여원을 편취했다.

검찰사칭-보이스피싱도 태국 방콕에 거점을 두고 우체국 택배기사, KB등 카드회사 콜센터 상담원, 서울중앙지검 검사 등을 사칭하여 원격 프로그램 어플 설치를 유도하고 악성 앱을 설치케한 후 이에 속은 피해자들(21명)로부터 1인당 적게는 수십만원부터 많게는 9억 5천만원까지 현재까지 총 59억여원을 편취했다.

코인 투자리딩사기 수법은 프놈펜을 거점으로 텔레그램을 통해 ‘월드 코인이 곧 업비트에 상장되면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속여 피해자들 (57명)로부터 4억여원을 편취했다.

노쇼 사기는 유통업체 등을 운영하는 소상공인에게 교도소 직원을 사칭해 납품 대금 결제를 유도하여 피해자들(9명)에게 1억 7천여만원을 편취하는 등 모든 피싱 사기 수단을 망라하는 수법의 다양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들 피의자 45명을 분석하면 남성이 42명으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28세로 나타났다.

가담 기간을 보면, 가장 긴 가담기간은 16개월, 짧게는 2개월로 평균 7.8개월을 몸담았다.

피의자들의 범죄 유입 경로를 보면 속아서 갔다고 진술하고 있는 사람은 한 명도 없었으며 진인 포섭형이 29명이고, 인터넷 등 광고를 보고 포섭당한 경우는 7명, 현지 카지노 등에서 돈을 탕진한 후 포섭당한 경우도 6명에 달했다.

이들 대부분은 현지에서 구금 중에도 미검인 총책이 소위 ’관작업‘을 통해 자신들을 석방시켜 줄 것이라는 말을 믿고 대사관의 도움을 거절하고, 귀국을 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충남청 관계자는 “이들 조직을 단서로 전국에 흩어져 있는 조직원들의 검거에 전력을 다하겠다”면서 “모르는 사람에게 SNS메세지를 받으면 꼭 112나 가까운 경찰관서에 방문해 상담을 받으라”고 당부했다.

 

홍석원 기자
001hong@kukinews.com
홍석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