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국토위 “서울시, 한강버스 사고 은폐…오세훈 진상규명·사죄해야”

민주 국토위 “서울시, 한강버스 사고 은폐…오세훈 진상규명·사죄해야”

“한강버스 101호, 망원 선착장 접근 중 수면 위 부표 충돌…안전 문제 있어”

기사승인 2025-10-29 10:14:12 업데이트 2025-10-29 14:59:08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29일 서울 여의도 소통관 기자회견장에서 서울시가 ‘한강버스’ 사고를 은폐했다며 CCTV 공개와 오세훈 서울시장의 사죄를 요구하고 있다. 김건주 기자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지난달 개통한 ‘한강버스’가 운항 중 철제 부표와 충돌했으나 서울시가 이를 은폐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서울시의 CCTV 공개와 오세훈 서울시장의 운항 연기와 사죄를 촉구했다.

민주당 국토위원들은 29일 서울 여의도 소통관에서 ‘한강버스 사고 발생 및 사고 은폐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달 29일 운항 중단 이후 무탑승 시범 운항 중이던 한강버스 101호가 수면 위의 철제 부표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며 “서울시가 이를 은폐한 정황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민주당에 따르면 충돌 사고는 지난 17일 오후 8시45분쯤 망원 선착장 인근에서 발생했다. 서울시가 지난달 18일 한강버스 정식운항을 시작한 뒤, 열흘 만에 세 차례 선박 고장이 이어지자 같은 달 29일 운항을 중단했다는 설명이다.

손명수 의원은 “선박이 부표와 정면 충돌한 직후 부표가 쓰러졌다”며 “쓰러진 부표는 선체 하부 가운데 공간으로 통과해 선체 가운데 바닥 부근에서 긁히는 충돌음이 지속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 사고로 선체가 긁히고 부표 상부가 휘어지는 파손이 발생했다”며 “잠수부를 수배해 선체 손상 여부를 확인하는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고 서울시에 보고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한강버스 101호는 망원 선착장 접근 중 부표의 야간 등화 작동 불량으로 인해 육안으로 부표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해 충돌한 것으로 보고됐다. 충돌한 부표는 수면으로부터 높이가 약 2m, 중량 5100kg의 철제 시설물이다. 다만 제보에 따르면 사고 당시 부표의 등화는 정상 작동했다고 민주당 국토위원들은 전했다.

유선 및 도선 사업법 제29조에 따르면 교량·수리시설·수표 등 수면에 설치된 인공구조물을 파손한 경우 사업자는 지체 없이 인접 지자체장이나 해경서장에게 보고해야 한다. 보고받은 자는 관할 시도지사 또는 지방해경청장에게 사실을 보고해야 한다.

이건태 의원은 “제보에 의하면 서울시는 사고를 보고받았으나, 투명하게 공개하고 조치하기는커녕 ‘외부에 유출하지 말라’는 지침을 내렸다”며 “사고내역 자료를 요구했으나 답변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고가 오 시장에게 보고되지 않았다면 법령 위반이며 서울시 사고 대응 시스템에 결함이 있다는 의미”라며 “사고 원인이 방향타 고장이나 선박 결함이었다면 심각한 안전 문제로, 정식운항을 할 수 없는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27일 다음 달 1일 한강버스 정식운항을 재개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민주당은 오세훈 서울시장과 서울시에 △사고 현장 CCTV 관련 자료 공개 △오세훈 시장의 진상 규명 및 사죄 △한강버스 정식운항 연기 및 안전 문제 전면 재검토 등을 요구했다.

민주당 국토위원들은 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이날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관련 자료를 요구하고 현장조사까지 제안·추진하겠다고 전했다.

다만 서울시는 은폐가 아니라고 반박했다. 이민경 서울시 대변인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주)한강버스는 사고 다음 날인 18일 오전 서울특별시 미래한강본부에 관련 내용을 정식 보고했다”며 “본부는 즉시 사고 선박 및 부표 점검·사고 경위 파악을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외부에 유출하지 말라’는 지침을 내렸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사고 직후 잠수부를 투입해 101호 선저 촬영 및 정밀 점검을 실시했다. 경미한 스크래치 외에는 어떠한 손상도 발견되지 않아 운항 안전성에 전혀 영향이 없다고 확인했으며 시범운항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민주당 국토위원들의 주장은 제보만을 근거로 한 일방적인 주장”이라며 “근거 없는 왜곡 보도와 정치공세에 법적 검토를 포함한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건주 기자
gun@kukinews.com
김건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