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 대어급으로 꼽히는 성수1·2지구가 난항을 겪으면서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 두 구역 모두 조합 내부 갈등으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서울 성동구 성수1지구 재개발 사업은 19만4000㎡ 부지에 최고 69층, 3014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예상 사업비는 약 2조원이다. 성수2지구 재개발 사업은 13만1980㎡ 부지에 최고 65층, 2359가구가 들어설 예정이며 예상 사업비는 약 1조8000억원이다. 성수1·2지구 재개발 사업비를 다 합치면 3조8000억원에 달한다.
사업성이 높게 평가되는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28일 마감된 성수2지구의 시공사 선정 입찰에는 단 한 곳의 건설사도 참여하지 않았다. 당초 포스코이앤씨, 삼성물산, DL이앤씨 등이 참여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성수2지구 조합장이 포스코이앤씨와 부적절한 접촉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조합장과 포스코이앤씨 양측은 이를 전면 부인했으나 논란이 확산되면서 포스코이앤씨가 입찰을 포기했다. 회사 측은 “사실과 다른 정보가 무분별하게 확산되고 있다”며 “공정하고 투명한 경쟁이 보장되기 어렵다고 판단해 부득이하게 입찰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삼성물산 측은 내부 검토 끝에 입찰을 포기했다. 논란 이후 성수2지구 조합장에 대한 사퇴 압박이 거세졌고 조합장은 지난달 31일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혔다.
DL이앤씨의 단독 입찰이 예상됐으나 결국 참여하지 않았다. 조합이 최근 조합원 안내문을 통해 “복수 시공사가 참여하지 않으면 수의계약 절차를 진행하지 않겠다”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경쟁 입찰을 원칙으로 하겠다”고 밝힌 데다 조합 내부 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점을 고려한 결정으로 보인다.
성수1지구도 조합 내부 갈등
성수1지구 재개발 역시 조합 내부 갈등이 끊이지 않고 있다. 문제가 불거진 계기는 시공사 선정 입찰 지침 때문이다. 조합은 건설사에 △조합원 전 세대 로열층 배정 등 제안 금지 △조합원 이주비는 개별 담보가치 범위 내에서만 제안 가능 △대안 설계 등 추가 아이디어 제안 금지 등 이례적인 조건을 내걸었다.
성수1지구 재개발은 GS건설과 현대건설, HDC현대산업개발 3파전이 예상되던 곳이었다. 무리한 입찰 조건에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은 시공사가 제안할 수 있는 경쟁력과 시공 능력이 과도하게 제한된다며 지침 수정을 요청했으나 조합이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조합이 GS건설과 유착을 했다는 의혹 등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후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이 참여를 포기하면서 GS건설 단독 입찰이 유력해졌다. 경쟁 입찰이 무산되자 조합 내부 반발이 커졌고 조합은 기존 입찰을 취소하고 재입찰을 진행했다. 일부 조합원들이 조합 해임 등을 건의하며 조합 내부 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서울시는 조합이 특정 건설사와 유착이 있었는지 실태조사에 나섰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성수 재개발은 사업비가 어마어마해 대형 건설사들이 많이 관심을 가지는 곳”이라며 “다만 두 구역 모두 입찰보증금이 1000억원으로 높은 편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성수가 요즘 뜨는 동네인 만큼 조합 내부 갈등이 정리되면 많은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