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만에 한국시리즈(KS) 우승을 차지한 LG트윈스가 역대 가장 많은 배당금을 받게 됐다.
1일 한국야구위원회(KBO) 측에 따르면 KBO리그는 올해 PS 16경기(와일드카드 결정전 2경기, 준플레이오프 4경기, 플레이오프 5경기, KS 5경기)가 모두 매진됐다. 총 관중은 33만5080명으로 집계됐다.
입장권 판매 수입은 약 157억원으로 지난해 기록한 역대 최고액(146억원)을 뛰어넘었다.
KBO리그 규정 제47조에 따르면 입장권 수입금은 PS에 진출한 5개 팀이 나눠 갖는다. KBO는 행사 운영에 들어간 제반 비용(약 43~45%)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각 구단에 배분한다. 제반 비용을 44%로 가정할 경우 배당금 규모는 약 88억원이다.
배당금은 정규시즌 우승팀이 먼저 전체의 20%를 챙긴다. 나머지 금액의 50%를 KS 우승팀, 24%를 KS 준우승팀, 14%를 플레이오프에서 패한 팀, 9%를 준플레이오프에서 패한 팀, 3%를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패한 팀이 가져간다.
이에 따라 LG는 정규시즌 우승 몫으로 17억6000만원, KS 우승 몫으로 35억2000만원을 받아 총 52억8000만원을 수령한다.
KS 준우승팀 한화 이글스는 16억9000만원, 플레이오프 패배팀 삼성 라이온즈는 9억9000만원, 준플레이오프 패배팀 SSG 랜더스는 6억3000만원, 와일드카드 결정전 패배팀 NC 다이노스는 2억1000만원을 가져간다.
LG는 KBO 우승 배당금 외에도 모기업으로부터 상당한 금액의 보너스를 추가로 받을 전망이다. KBO와 10개 구단 보너스 규정에 따르면 우승팀의 모기업은 구단에 전체 배당금의 최대 50%를 추가로 지급할 수 있다.
LG그룹이 상한선만큼 보너스를 주면 구단은 26억4000만원을 더 받을 수 있다. PS 배당금과 그룹 보너스를 합하면 구단이 받는 금액은 79억2000만원이 된다.
LG는 2년 전 우승 당시 배당금으로 29억4000만원, 우승 보너스로 14억7000만원을 받아 총 44억1000만원을 수령했다.
한편 KS 최우수선수(MVP)인 김현수는 KBO리그 부상인 전기차 외에도 구단으로부터 별도의 포상금이나 부상을 받을 예정이다.
2년 전 우승 당시에는 시리즈 MVP인 오지환이 고(故) 구본무 회장이 남긴 고가의 롤렉스 손목시계를 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