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가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3700억원이 넘는 순이익을 내며 또다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로 이자수익이 줄었지만 수수료·플랫폼 수익이 이를 만회했다.
5일 카카오뱅크는 3분기(7∼9월) 순이익이 111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전년 동기(1242억원) 대비 10.3% 감소했다. 3분기까지 누적 순이익은 375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 늘어 역대 최대다.
카카오뱅크의 3분기 누적 영업수익(2조3273억원) 중 이자수익은 1조4921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같은 기간(1조5392억원)보다 3.1% 줄었다. 대출 잔액은 늘었지만 시장금리 하락 기조 속 순이자마진(NIM)이 줄어든 영향이다. 3분기 순이자마진은 1.81%로 전 분기보다 0.11%포인트(p) 줄었다.
반면 비이자수익은 크게 늘며 실적을 끌어올렸다. 카카오뱅크 3분기 누적 비이자수익은 8352억원이다. 전년 같은 기간(6591억원)보다 26.7% 불어났다. 전체 영업수익(2조3273억원) 중 비이자수익 비중은 36%로 전년(30%) 대비 6%포인트(p) 확대됐다. 특히 수수료·플랫폼 수익은 대출 비교, 광고, 투자 플랫폼 성장에 힘입어 전년보다 4.7% 늘어난 2312억원을 기록했다.
카카오뱅크 수신 잔액은 3분기 말 기준 65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고객 수는 2624만명, 월간 활성 이용자(MAU) 수는 1997만명을 기록했다. 여신 잔액은 45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카카오뱅크는 오는 2027년까지 3000만명의 고객을 확보하고 총 수신 90조원 달성을 목표로 두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하반기에도 가계대출 증가 속도를 억제하면서 중·저신용자와 소상공인 대상 포용금융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3분기 중·저신용 대출 비중은 32.9%, 연체율은 0.51%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지속적인 고객 유입과 트래픽 확대를 토대로 여·수신 포트폴리오와 비이자 사업을 다변화했다”며 “글로벌 진출 확대와 인공지능(AI) 기반 앱으로의 진화를 통해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금융 산업의 혁신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