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국회의원이 보유한 주택 5채 중 1채꼴로 서울 강남 지역에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올해 3월 공개된 국회의원 재산 신고 내역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대선 이후 대통령비서실 등으로 이동해 의원직에 있지 않은 전 국회의원을 포함한 22대 국회의원 299명 중 유주택자는 234명이다. 이중 2주택 이상 다주택자는 61명으로 다주택 비율은 40%로 나타났다.
국회의원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보유한 주택은 총 299채로 이 가운데 134채(44.8%)가 서울에 집중돼 있었다. 서울 중에서도 강남4구에 61채, 비강남권에 73채가 위치했다.
전세 임대를 주고 있는 국회의원은 299명 중 95명이다. 서울 지역에 본인, 배우자 명의의 주택을 가지고 있다고 신고한 의원은 128명인데 34명은 해당 주택을 전세 임대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남4구 지역에 본인, 배우자 명의의 주택 보유자 61명 중 전세 임대 준 의원은 17명에 달했다.
주택 외 부동산 자산도 상당했다. 전체 의원 299명 중 72명(24.08%)이 비주택 건물의 보유를 신고했다. 비주택 건물 150채 중 63채(42%)가 서울에 집중돼 있었다.
국회의원이 보유한 아파트 251채 중 분양권, 주소나 면적 등이 불확실한 30채를 제외한 221채를 대상으로 시세조사를 진행했다. 이 아파트들의 평균 신고액은 5억원이나 2025년 현재 시세는 15억2000만원으로 나타났다.
경실련은 이를 바탕으로 공직자의 부동산 투기를 차단하고 주거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제도개선을 촉구했다. 경실련 측은 “고위공직자의 부동산 관련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고위공직자 1주택 이외 토지 및 주택 보유 매매를 원칙 금지해야 한다”며 “서민을 위하는 주거 정책으로는 분양제도 정상화와 공공주택 공급 구조 혁신, 매입 임대 금지가 필요하다”이라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