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규백 국방부 장관이 원자력 추진 잠수함의 공식 명칭을 ‘핵추진잠수함(핵잠)’이 아닌 ‘원자력추진잠수함(원잠)’으로 정리했다. 핵무기 보유로 오해받을 수 있는 표현을 피하고, 평화적 에너지 이용 의지를 강조하기 위한 조치다.
안 장관은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핵잠 공식 명칭을 원잠으로 하기로 했냐”라는 정청래 민주당 대표의 질문에 “그렇다”라고 답했다.
안 장관은 “핵잠이라고 하면 핵을 탑재한 핵폭탄을 연상할 수 있고 국제사회에서 그런 문제를 제기할 수 있기 때문에, 평화적 목적에 포커스 하기 위해 용어를 공식적으로 바꿨다”고 설명했다.
정 대표가 “원잠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전작권 환수 논의도 함께 이뤄지고 있느냐”고 묻자, 안 장관은 “의미 있는 진전이 있었다”며 “한국군의 주도적 능력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답했다.
안 장관은 원잠의 내년도 예산 반영은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안 장관은 김병주 민주당 의원의 “내년도 원자력추진 잠수함의 예산은 편성이 되지 않았냐”는 질문에 “그렇다. 양국 간 조율하고 협의할 문제가 많아 내년 예산에 탑재하기엔 상당히 제한적 요소가 있다”고 전했다.
이어 “원자력추진잠수함이 미국 필리조선소에서 건조되는 것이냐”는 물음에 안 장관은 “그 부분까지 협상에서 이야기가 나온 것은 아니고, 대원칙에 대해서만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이 원잠 사업이 미 의회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며 우려하자 안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께서 확실한 리더십을 가지고 영도적으로 추진하는 사항이기에 큰 틀에서 문제 없다”며 “헤그세스 장관도 미국으로 돌아가면 국무부, 상무부, 에너지부까지 많은 설득을 하겠다고 말했다”고 강조했다.
원잠을 국내에서 건조하는 것이 맞지 않냐는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는 “한국이 30년 이상 기술 축적과 연구를 해왔기 때문에 합당하다”며 “미국 필리조선소는 기술력과 인력, 시설 등이 상당히 부재한 면이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정부 부처와 긴밀히 협의해야 할 사항”이라며 “아직 대원칙에서만 이야기했을 뿐, 한국이나 미국 등 어느 조선소에서 지을지에 대한 얘기는 나온 적 없다”고 부연했다.
필리조선소는 한화그룹이 작년 12월 인수한 미국 내 조선소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한국의 핵잠수함 건조를 승인하면서 직접 언급한 곳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