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19만명 가량 늘며 고용시장이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업종별·연령별로는 온도차가 뚜렷했다. 특히 청년층 취업자가 16만명 넘게 줄면서 고용률 하락세가 1년 반째 이어졌다.
12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904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9만3000명 증가했다. 올해 들어 5월(24만5000명)과 9월(31만2000명)을 제외하면 매달 10만명대 증가폭을 유지하고 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4%로 10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 역시 70.1%로 최고치를 새로 썼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33만4000명), 30대(8만명)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감소세였다. 특히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6만3000명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청년 고용률은 44.6%로 전년보다 1.0%포인트(p) 떨어져 18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반면 청년 실업률은 5.3%로 0.2%p 낮아졌지만, 이는 구직 단념 등 노동시장 이탈이 늘어난 영향으로 해석된다.
공미숙 국가데이터처 사회통계국장은 “경력직 중심의 수시 채용이 확대되면서 청년층에는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며 “청년층 비중이 높은 제조업 부진도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쉬었음’ 인구는 258만명으로 전년 대비 13만5000명 늘었다. 청년층의 ‘쉬었음’ 인구는 40만9000명으로 9000명 줄었지만, 30대는 33만4000명으로 2만4000명 늘어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공 국장은 “30대 고용률 자체는 양호하지만, 비경제활동인구 내에서 육아·가사 비중은 줄고 ‘쉬었음’으로 분류되는 인원이 늘고 있다”고 밝혔다.
산업별로는 양질의 일자리로 꼽히는 제조업과 건설업의 부진이 이어졌다. 제조업 취업자는 5만1000명 감소하며 16개월째 내림세가 계속됐고, 건설업도 12만3000명 줄어 18개월 연속 감소했다. 제조업 감소폭은 작년 10월(3만3000명) 이후 가장 작았지만, 건설업은 잦은 비 등 기후 요인으로 전월(8만4000명)보다 줄어든 폭이 더 컸다. 농림어업도 12만4000명 줄어 고령화와 산업 구조 변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도소매업은 4만6000명 늘며 2017년 11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를 보였다.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취업자도 7만명 늘었는데, 정부가 공연·전시 할인권 등 민생소비 진작 정책을 시행한 효과로 풀이된다.
실업자는 20대와 50대를 중심으로 2만명 줄어 65만8000명을 기록했다. 실업률은 2.2%로 전년 대비 0.1%p 하락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