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현대차‧기아가 손을 맞잡고 자동차 부품 협력업체들의 탄소 감축을 본격 지원한다.
산업통상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17일 현대차‧기아, 자동차 부품 협력기업 87개사 등과 함께 자동차 산업 공급망의 탄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자동차 공급망 탄소 감축 상생 협약식’을 개최했다.
최근 EU 등 주요국의 탄소 규제는 기존 사업장 단위에서 제품 단위로 정교화되고 있다. 이에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발자국이 새로운 수출 규제의 잣대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정부와 현대차·기아는 부품 협력업체의 저탄소 전환을 지원해, 국내 자동차 산업 전반의 탄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산업부는 올해 4개 공급망 컨소시엄(LG전자‧포스코‧LX하우시스‧LG화학)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산업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 사업을 통해 공급망 전반으로 본격 확산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중소기업 탄소중립 설비투자 지원’ 사업의 지원 규모를 한층 확대해 자동차 부품 중소기업들의 저탄소 전환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산업부와 현대차·기아가 우선적으로 1차 협력업체의 탄소감축 설비교체를 지원하고, 해당 1차 협력업체는 지원받은 금액만큼을 환원해 중기부와 함께 다시 2차 협력업체의 설비교체를 지원한다. 자동차 공급망에서의 ‘연쇄적 탄소 감축 효과’를 통해 민관이 함께하는 상생형 탄소 감축 지원체계를 구축한다는 것이 정부의 구상이다.
현대차‧기아는 “이번 협약은 기업‧정부‧공공기관이 함께 만든 공급망 저탄소 전환의 실질적 협력 모델”이라며 “지속가능경영 실천과 산업 생태계 전환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