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 붙는 글로벌 자율주행차 패권 경쟁…안전성‧제도 정비는 ‘허술’

불 붙는 글로벌 자율주행차 패권 경쟁…안전성‧제도 정비는 ‘허술’

현대차‧테슬라‧GM, 상용화 나서
안전성‧제도 준비 등 아직 미완
자율주행 사고 사례도 꾸준히 ↑

기사승인 2025-11-18 06:00:11 업데이트 2025-11-18 07:35:24
지난달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미래모빌리티엑스포(DIFA)’ SEKONIX 부스에 자율주행 기술이 탑재된 차량이 전시돼 있다. 송민재 기자

글로벌 완성차 업계가 최근 AI 기술 확보에 속도를 내면서 자율주행 시장 경쟁도 본격화되고 있다. 그러나 기술 상용화에 비해 도로 인프라, 법·제도, 안전성 검증 등 기반 체계는 아직 충분히 갖춰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그룹과 테슬라, GM 등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이 자율주행차 상용화 서비스 및 기술 고도화 경쟁에 열을 올리고 있다.

현대차는 최근 구글 자율주행 자회사 웨이모(Waymo)와 손잡고 자율주행 시스템 ‘웨이모 드라이버’를 탑재한 아이오닉 5 로보택시의 미국 샌프란시스코 도로 주행 테스트를 시작했다. 아이오닉 5는 웨이모 플릿(Fleet)에 합류해 향후 현지 고객을 대상으로 자율주행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현대차는 엔비디아와의 기술 협력을 강화하며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엔비디아의 차세대 그래픽저장장치(GPU) ‘블랙웰’ 5만장을 공급받기로 하면서 기술 개발 추진력도 확보했다. 엔비디아의 디지털 트윈·시뮬레이션 플랫폼인 ‘옴니버스(Omniverse)’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지역별 주행 환경과 조건의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고, 광범위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자율주행 기술 과정을 고도화하는 방안을 시험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차세대 자율주행 기술의 선두에 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반면 테슬라와 GM은 한국 자율주행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테슬라가 12일 공식 X계정에 공개한 영상의 장면. X 캡처

테슬라코리아는 최근 공식 X 계정을 통해 ‘FSD 감독형, 다음 목적지:한국’이라는 문구와 함께 국내 도로에서 FSD 감독형 기능을 활용한 주행 영상을 공개했다. 테슬라가 한국 시장에서의 FSD 출시 계획을 공식화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해당 영상에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에서 손을 뗀 채 일반 도로, 좁은 골목, 횡단보도 등을 주행하는 모습이 담겼다.

한국GM도 슈퍼크루즈가 적용된 캐딜락 플래그십 전기 SUV ‘에스컬레이드 IQ’를 연내 한국에 출시할 예정이다. 슈퍼크루즈는 라이다(LiDAR) 기반의 정밀 지도를 바탕으로 카메라, 레이더, 위치정보 시스템(GPS)을 활용한 첨단 주행 기술로, 국내에서는 처음 선보이는 핸즈프리 기능이다.

이처럼 완성차 업체들의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나, 안전성 우려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현재 AI의 오류 원인에 따른 법적 책임 규명이 불분명한데다, 또 센서 인지 오류 등으로 인한 안전성등의 문제도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자율주행차 관련 사고는 국내외에서 잇따르고 있다. 지난 5월 경기도 수원시에서 ‘2025 수원 지능형 교통체계(ITS) 아태총회’ 시승 행사에 투입된 자율주행차가 승용차를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같은 해 4월에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운행 중이던 죽스(Zoox) 로보택시가 다른 승용차와 충돌하는 사고가 빚어졌다.

이처럼 자율주행차 사고가 잇따르는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기술 상용화 속도와 함께 안전성 확보 및 제도 정비도 동시에 구축돼야 한다고 제언한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현재 국내 자율주행 추진과 관련한 근본적 우려가 매우 크다”며 “법‧보험‧책임 체계가 명확히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사고 발생이 불가피하며,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최우선 과제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부분 고속화 도로 중심의 시험 주행이 이뤄지다 보니 실제 도심 환경, 돌발 변수 등 복합적 상황에 대한 검증은 사실상 부족한 게 현실”이라며 “기술 속도만 앞서가고 안전‧제도‧검증 체계가 뒤따르지 않는다면 중대 사고는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책임 주체 명확화, 보험‧보상 체계 설계, 안전 규제 정비, 도심형 실증 환경 확대 등 제도적 기반을 구축 및 강화해야 한다”며 “기술 고도화와 안전 시스템 확립이 병행돼야 지속 가능한 자율주행 시대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민재 기자
vitamin@kukinews.com
송민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