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버스 멈춤 사고가 발생하기 전 선박 바닥 접촉 보고가 잇따랐던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서울시와 운영사는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운항을 이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김선직 ㈜한강버스 대표에 따르면 선박 바닥에 무언가 닿았다는 보고는 총 15건 접수됐다. 최초 보고는 지난 8월1일이며, 정식 운항일인 9월18일부터 사고 전까지 14건이 추가로 발생했다.
이 같은 사실은 이날 서울 중구 시청에서 열린 ‘한강버스 멈춤 사고 관련 브리핑’ 질의응답 과정에서 확인됐다. 15일 사고 이후 한남대교 상류 구간 전체를 미운항하는 이유를 묻자, 김 대표는 “동호대교 쪽에도 접촉이 발생한다는 보고가 들어와, 수심 낮은 지역을 위주로 점검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하류에서 접촉 보고가 있었지만 특별한 문제가 없었다”면서도 “앞으로 추가 조사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접촉 15건의 원인에 대해서는 “이제 정밀하게 확인하려고 한다”고 했다.
브리핑 과정에서는 답변 혼선도 있었다. 최초 보고 시기와 위치를 묻는 질문에 김 대표는 “11월 들어 갈수기 때문에 보고가 들어왔던 것이지 그 전엔 없었다”고 답했다. 이는 앞서 밝힌 ‘8월1일 최초 보고’와 배치되는 내용이다.
수심 예측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서도 혼선이 있었다. 한강 최저 수심 데이터가 있는데도 갈수기에 대비하지 못한 이유를 묻자, 김 대표는 “운항하며 데이터를 쌓아가고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한강버스와 순찰선이 배 밑에서 수심을 측정하며 돌아다니고, 이 과정에서 선장들과 소통하며 ‘수심이 낮아지고 있는 것 같다’는 보고가 들어오면 추가 조사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존 항로에 대한 수심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녀보고 데이터를 쌓아간다는 오해가 없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다른 관계자도 “전반적으로 수심을 파악하고 있지만 한강 바닥은 버려진 앵커나 바위 등 노출되는 구간이 있어 평평하지 않아, 모두 파악하기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런 문제를 바로 잡기 위해 잠수부가 세밀한 수중 탐사를 준비 중”이라고 했다.
한강버스 측은 사고 현황 자료 공개에도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김 대표는 “서울시와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와만 소통하고 있어, 자체적으로 자료를 전달하는 건 어렵다”고 말했다.
시범 운항 재개 시점에 대해서도 말을 아꼈다. 김 대표는 “시범 운항에 대해선 현재 말씀드리기 어려우며, 최대한 신속하게 조치를 취하는 대로 운항을 다시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강버스 멈춤 사고는 지난 15일 오후 8시25분 102호 선박이 잠실선착장 부근에서 한강 바닥에 걸려 멈춘 사건이다. 승객 82명은 구조정을 통해 선착장으로 이동했다. 정확한 사고 원인은 조사 중이며, 서울시는 사고의 직접적 원인을 항로 이탈에 따른 저수심 구간 걸림으로 추정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