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를 모두 1표로 동일하게 반영하는 ‘1인1표제’ 도입과 관련한 당헌·당규 개정안의 최종 결정을 다음 달 5일 중앙위원회로 연기했다. 1인1표제는 현행 당 대표·최고위원 선출 과정에서 20:1 미만인 대의원·권리당원 투표 비율을 동일한 1표로 만드는 것으로, 당원 주권 회복을 목표로 한다.
민주당은 당초 24일 당무위원회를 통과한 개정안을 오는 28일 중앙위에서 처리할 계획이었으나, 절차가 충분히 숙의되지 않았다는 내부 비판이 제기되면서 논란 진화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당헌·당규 개정안은 최고위원회, 당무위원회, 중앙위원회 의결을 순차적으로 거쳐 최종 확정된다. 지난 21일 최고위를 통과하고 이날 당무위에서도 의결됐지만 일부 당원들의 이견이 제기되면서 최종 의결을 일주일 미뤘다는 것이다.
조 사무총장은 “다양한 의견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고, 서면이나 현장에서 의견을 낸 분들도 있었다”며 “그러한 의견을 수용해 논의 시간을 더 갖자는 정청래 대표의 판단이 반영됐다”고 말했다.
이어 “대의원제를 보완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기로 했고, 취약 지역에 대한 배려 조항도 이번 개정안에 포함했다”며 “다만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있어 이를 보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일부 의원들은 절차적 문제를 이유로 공개적으로 반발하기도 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당무위에 앞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1인1표제 자체에 대한 찬반보다 절차의 정당성과 민주성, 그리고 취약 지역의 전략적 고려가 충분히 논의되지 않은 것이 핵심 논란”이라며 “수십 년간 운영해온 중요한 제도를 단 며칠 만에 충분한 숙의 없이 폐지하는 것이 맞느냐”고 비판했다.
강득구·윤종군 의원도 전날 이번 개정이 ‘졸속’이라며 문제를 제기했다.
조 사무총장은 “그동안 제기된 우려나 오해를 해소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본다”며 “일주일 동안 충분한 토론과 보완책 마련을 통해 우리 당이 ‘당원 주권 정당’으로 나아가는 큰 걸음을 내딛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